사설/국산 목재제품 개발과 산림청의 역할
사설/국산 목재제품 개발과 산림청의 역할
  • 나무신문
  • 승인 2010.08.1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목재업계의 국산목재를 보는 시각이 달라지고 있다.
최근 국산재를 이용한 신제품 개발과 이에 대한 특허출원이 잇따르고 있다. 천덕꾸러기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던 국산 원목이 2차, 3차 가공을 통해 부가가치 있는 제품으로 거듭나고 있는 것이다.


열개질가공으로 조경시설용 고급 가로등 시장에 진출하고, 집성패널로 생산돼 본격적인 건축자재로서의 반열에 오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수입재에서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문양과 질감의 벽마감재로도 판매되고 있다.


사실 대부분 목재산업계에 있어 국산재는 그동안 관심 밖의 대상이었다. 국산재는 수입재에 비해 가격은 터무니 없이 비싸면서도 품질은 조악하다는 게 업계 일반의 지적이다. 특히 문제는 공급면에 있어서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게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들쭉날쭉한 공급량과 개개 원목 역시 용도나 등급 구분 없이 한데 뭉뚱그려서 땡처리 장사하듯 공급되고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국산재는 지금까지 한옥재 등 극히 일부를 제외 하고는 목질보드용 칩 생산이나 열에너지용 원료로 공급돼 오고 있다. 이 보다 조금 발전한 것이 옹벽방틀이나 방부데크 등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주제품이 아닌 국산재 구색 맞추기용이 아닌가 할 정도로 옹색하기 그지없다는 게 우리의 생각이다.


국산재가 이러한 처지에 놓이게 된 데에는 무엇보다 산림청의 잘못이 결정적이다. 벌채의 기본은 베어낸 나무를 사용하겠다는 의지다. 용도가 정해지지 않은 것은 벌채가 아니라 나무 제거에 불과하다. 한여름 개털 깎아주는 것이나 매한가지다.


산림청은 공공근로나 벌기령, 수종갱신, 숲가꾸기 등에 앞서서 무엇에 쓸 것인지 부터 확실히 하고 산에 들어가야 한다. 또 이를 위해서는 산업현장에서 목재를 가공하는 사람들을 벌채계획 수립에 참여시켜야 한다.


지금처럼 담당공무원이나 말 그대로 ‘산주인’에 불과한 산림조합장, 대학교수 등으로 구성된 현장간담회 몇 번으로는 안 된다는 말이다. 오답의 무한반복만 있을 뿐이다.
정답은 산업현장에 있다. 최근의 잇단 국산목재 신제품 개발이 이를 잘 방증해주고 있다. 산림청은 하루빨리 제대로 된 국산목재 공급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Tag
#사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