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지긋지긋한 산림청의 ‘고질병’
사설/지긋지긋한 산림청의 ‘고질병’
  • 나무신문
  • 승인 2009.06.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림청이 ‘사양길에 접어든 제재산업’ 살리기에 팔을 걷어 부칠 생각인 것 같다.


국산재 벌채량을 확대하고 이를 한옥시장 확대와 연계해 제재소의 한옥재 생산을 획기적으로 늘린다는 계획인 것 같다. 나아가서는 ‘산지에서 가까운’ 강원 내륙지방에 대단위 제재단지를 세운다는 청사진도 펼쳐 보일려나 보다.


참으로 진부하고 재미없는 표현이지만, 전형적인 탁상행적이란 게 산림청의 제재산업 살리기 프로젝트에 대한 우리의 생각이다. 지금 우리의 제재산업이 사양길로 접어든 이유가 국산재를 원활하게 사용하지 못해서라는 말인가. 아니면 한옥시장이 축소됐기 때문이라는 것인가 묻지 않을 수 없다.


산림청은 하루빨리 ‘국산재’라는 고질병에서 헤어나야 한다. 요즘 제재산업이 위축되고 한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하니, 국산재로 한옥재 생산하면 될 것 아니냐는 소리는 ‘해법’이 아니라 ‘헛소리’인게 지금의 현실이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우리나라의 가장 큰 나무산지는 강원도가 아니라 인천항이다. 거의 대부분의 원목을 수입에 의존하는 현실에서 강원내륙에 ‘대규모 제재단지’ 운운한다는 것은 산림공무원으로서의 기본적인 자질마저 의심케 한다.


제재소 한 곳에라도 나가서 물어봤다면 이처럼 쓸모없는 청사진은 그려내지는 않았을 것이다. 90%가 넘는 원목이 바다에서 올라오고 있는데, 10%도 안 되는 국산재 때문에 강원내륙으로 옮길 제재소는 우리나라에는 없다.


행여 있다고 해도, 이는 산림청이 나서서 말려야 할 일이다. 그럴 일은 없겠지만 인천이나 군산 부산으로 올라온 원목을 화물트럭으로 강원도로 옮겨 가공한 후, 이를 다시 수도권으로 운송해 판다는 소리이기 때문이다. 이는 지금의 제재산업을 더욱 고비용 저효율 구조로 몰아 고사시키겠다는 것에 진배없다. 이 구조를 극복하고 제재산업이 살아남아도 소비자들은 쓸데없이 높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방역은 또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제재산업의 위기는 국산재를 못 써서가 아니다. 오히려 제재산업이 살아야 국산재도 살 수 있다. 산림청의 제재산업 살리기 프로젝트는 ‘산지에서 가까운’ 인천 부산 군산 동해 평택 등을 중심에 놓고 시작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