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재목, 합판 및 보드류 수급 동향과 전망
제재목, 합판 및 보드류 수급 동향과 전망
  • 김오윤 기자
  • 승인 2024.02.23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구용재 및 리모델링 수요 감소로 인테리어용재의 지속적인 수요 감소 예상
남성현 산림청장이 산림임엄 전망 대회에서 참석자들과 결의를 다지고 있다.
남성현 산림청장이 산림임엄 전망 대회에서 참석자들과 결의를 다지고 있다.

2024년 제재목 소비량은 건설수주, 건설허가 및 건설착공 지표 악화로 인해 건설경기 침체가 전망되며 이로 인한 건설용재 수요 감소로 전년 대비 1.5% 감소한 2996천㎥로 전망된다. 수입량은 칠레 및 러시아 등 주요 수입국의 물량 공급 및 컨테이너 해상운임 등의 안정은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겠으나 국내 건설경기 침체로 인한 제재목 소비 감소 영향으로 전년 대비 1.5% 감소한 1748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합판 소비량은 국내 수출경기 호조세 전환 전망으로 포장용재 수요는 증가하겠으나 건설경기 침체로 인한 건설용재 수요 감소로 전년 대비 1.3% 감소한 1519천㎥가 될 전망이다. 합판 생산량은 베트남산 수입 합판과 경쟁 및 합판 수요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7.5% 감소한 197천㎥가 전망된다.

파티클보드 생산량은 가구용재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1.3% 감소한 595천㎥가 될 것으로 전망되며, 수입량도 가구용재 수요 감소로 전년 대비 2.9% 감소한 1145천㎥로 전망된다.

MDF 소비량은 제품 가격 상승, 이사수요 감소로 인한 가구용재 및 리모델링 수요 감소로 전년 대비 2.3% 감소한 1491천㎥가 예상된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과 김기동 박사는 최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2024 산림임엄 전망 대회’에서 이와 같은 내용의 제재목, 합판 및 보드류 수급 동향과 전망을 발표했다. 다음은 발표 전문,

1 제재목
1.1. 수급 동향
1.1.1. 생산

국내 제재목 생산량은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채산성 악화 및 금리인상으로 시작된 건설경기 침체 및 수출 부진의 영향으로 인한 수요 감소로 전년 대비 14.7% 감소한 1274천㎥로 추정된다.

침엽수 제재목 생산량은 1227천㎥, 활엽수 제재목 생산량은 47천㎥로 추정된다.

그림1. 침·활별 제재목 생산량 추이
그림1. 침·활별 제재목 생산량 추이

1.1.2. 수입
2023년 제재목 수입량은 국내 수출경기 침체로 인한 포장용재 및 건설경기 침체로 인한 건설용재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2.4% 감소한 1774천㎥로 추정된다. 침엽수 제재목 수입량은 1619천㎥로 전년 대비 1.0%, 활엽수 제재목 수입량은 155천㎥로 전년 대비 15.3% 각각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제재목 수입량은 2017년 2518천㎥이 수입된 이후 건설경기 침체로 다시 감소되고 있다.

그림2. 침·활별 제재목 수입량 추이
그림2. 침·활별 제재목 수입량 추이

우리나라의 주요 제재목 수입국은 칠레, 러시아 및 뉴질랜드이며, 2023년 칠레산 제재목 수입량은 510천㎥로 전년 대비 2.9%, 러시아산 제재목 수입량은 350천㎥로 전년 대비 4.4% 각각 감소했으나 뉴질랜드산 제재목 수입량은 190천㎥로 전년 대비 24.2% 증가했다.

그림3. 국가별 침엽수 제재목 수입량 추이
그림3. 국가별 침엽수 제재목 수입량 추이

1.1.3. 소비
2023년 국내 제재목 소비량은 3,=042천㎥로 전년 대비 8.0%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고금리, 원자재 가격 상승 및 부동산PF 불안정 등에 의한 건설경기 침체, 국내 수출 부진 및 원/달러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제재목 소비량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림4. 제재목 소비량 추이
그림4. 제재목 소비량 추이

1.2. 수급 전망
2024년 제재목 소비량은 건설수주, 건설허가 및 건설착공 지표 악화로 인해 건설경기 침체가 전망되며 이로 인한 건설용재 수요 감소로 전년 대비 1.5% 감소한 2996천㎥로 전망된다.

2024년 제재목 생산량은 인건비 및 전기료 상승 등 제재목 생산의 채산성 악화 및 제재목 수요감소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1.6% 감소한 1253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 제재목 수입량은 칠레 및 러시아 등 주요 수입국의 물량 공급 및 컨테이너 해상운임 등의 안정은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겠으나 국내 건설경기 침체로 인한 제재목 소비 감소 영향으로 전년 대비 1.5% 감소한 1748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표1. 제재목 수급 전망
표1. 제재목 수급 전망

2 합판
2.1. 수급 동향
2.1.1. 생산

2023년 합판 생산량은 국내 건설경기 특히, 건축물착공물량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18.7% 감소한 213천㎥로 추정된다. 종류별 합판 생산량을 살펴보면 보통합판 생산량이 190천㎥로 추정되어 전년 대비 17.7%, 가공합판은 23천㎥로 전년 대비 25.8% 각각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표2. 연도별 합판 생산량
표2. 연도별 합판 생산량

국내 합판 생산업체는 12㎜ 이상의 콘크리트 거푸집용 합판을 주로 생산하고 있다. 2023년 두께별 보통합판 생산량을 살펴보면, 두께 12㎜ 이상 보통합판은 157천㎥가 생산되어 전년 대비 10.8%가 감소했으며 전체 생산량 중 82.6%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6.0~11.9㎜ 두께의 보통합판 생산량은 31천㎥로 전년 대비 41.5% 감소했으며 3.6~5.9㎜ 두께의 합판은 2022년과 동일한 2천㎥가 생산될 것으로 추정된다.

표3. 연도별 두께별 보통합판 생산량
표3. 연도별 두께별 보통합판 생산량

2.1.2. 수출입
2023년 합판 수입량은 국내 건설경기 침체 지속으로 인한 건설용재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5.2% 감소한 1329천㎥로 추정된다. 합판 주요 수입국은 베트남, 인도네시아, 중국 등이며 2023년 베트남산 합판 수입량은 623천㎥로 전년 대비 8.8%, 인도네시아산 합판 수입량은 380천㎥로 전년 대비 11.2%, 중국산 합판 수입량은 131천㎥로 전년 대비 3.0% 각각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림5. 국가별 합판 수입량 추이
그림5. 국가별 합판 수입량 추이

2.1.3. 소비
합판 소비량은 2021년 건설착공면적 증가 및 리모델링 수요 증가로 증가세로 전환되었으나 2022년 금리인상으로 인한 국내 건설경기 침체로 다시 감소세로 전환되어 2023년에는 전년 대비 7.3% 감소한 1539천㎥로 추정된다.

그림6. 합판 소비량, 생산량 및 수입량 추이
그림6. 합판 소비량, 생산량 및 수입량 추이

2.2. 수급 전망
2024년 합판 소비량은 국내 수출경기 호조세 전환 전망으로 포장용재 수요는 증가하겠으나 건설경기 침체로 인한 건설용재 수요 감소로 전년 대비 1.3% 감소한 1519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 합판 생산량은 베트남산 수입 합판과 경쟁 및 합판 수요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7.5% 감소한 197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 합판 수입량은 원/달러 환율 및 해상운임 안정 등의 긍정적 요인이 있으나 건설경기 침체로 인한 국내 소비 감소로 전년 대비 0.3% 감소한 1325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표4. 합판 수급 전망
표4. 합판 수급 전망

3 파티클보드
3.1. 수급 동향
3.1.1. 생산

2023년 파티클보드 생산량은 국내 파티클보드 생산 업체 폐업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로 전년 대비 23.2% 감소한 603천㎥가 될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1995년 이후 최저 생산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생산업체 한 곳의 폐업으로 2023년 현재 국내 파티클보드 제조사는 두 곳만 운영되고 있다.

표5. 연도별 파티클보드 생산량
표5. 연도별 파티클보드 생산량

2023년 국내 두께별 파티클보드 생산량은 15㎜ 이상 19.9㎜ 이하 제품이 전년 대비 26.0% 감소한 546천㎥, 20㎜ 이상이 전년 대비 23.8% 감소한 32천㎥, 10.1㎜ 이상 14.9㎜ 이하 제품이 전년 대비 400% 증가한 25천㎥가 생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10.1㎜ 이상 14.9㎜ 이하 제품의 생산량 증가는 섬유판 가격 상승으로 인한 대체품으로 파티클보드 수요가 증가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표6. 연도별 두께별 파티클보드 생산량
표6. 연도별 두께별 파티클보드 생산량

3.1.2. 수입
2023년 파티클보드 수입량은 가구용재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3.1% 감소한 1179천㎥로 추정된다.

국내 파티클보드 주요 수입국은 태국이며 2023년 수입량은 전년 대비 4.2% 감소한 1017천㎥로 추정된다. 태국산 파티클보드 수입량은 전체 수입량 중 86.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7. 국가별 파티클보드 수입량 추이
그림7. 국가별 파티클보드 수입량 추이

3.1.3. 소비
2023년 국내 파티클보드 소비량은 주택거래량 감소1)로 인한 이사 수요 및 리모델링 수요 감소로 인한 가구용재 수요 감소로 전년 대비 11.0% 감소한 1782천㎥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그림8. 파티클보드 소비량, 생산량 및 수입량 추이
그림8. 파티클보드 소비량, 생산량 및 수입량 추이

3.2. 수급 전망
2024년 파티클보드 소비량은 이사 수요 감소로 인한 가구용재 수요 감소 지속으로 전년 대비 2.4% 감소한 1740㎥로 전망된다.

2024년 파티클보드 생산량은 가구용재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1.3% 감소한 595천㎥가 될 것으로 전망되며 수입량도 가구용재 수요 감소로 전년 대비 2.9% 감소한 1145천㎥로 전망된다.

표7. 파티클보드 수급 전망
표7. 파티클보드 수급 전망

건설경기 침체로 인한 건설 폐목재의 공급 감소 및 발전용 폐목재 수요 증가로 파티클보드의 원자재 부족 가능성이 있으나 현재 파티클보드 생산량 감소로 원자재 경합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파티클보드 수요가 증가할 경우 원자재 경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4 중밀도 섬유판(MDF)
4.1. 수급 동향
4.1.1. 생산

섬유판 생산량은 건설경기 침체로 인한 가구용재 및 인테리어용재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10.1% 감소한 1322천㎥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섬유판 생산량은 2021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재택근무 증가 영향으로 가구용재 수요가 증가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표8. 연도별 섬유판(MDF) 생산량
표8. 연도별 섬유판(MDF) 생산량

2023년 국내에서 생산되는 섬유판 중 두께 15㎜ 이상 20㎜ 미만의 제품의 생산량이 747천㎥로 전년 대비 8.1% 감소했으며 전체 생산량 중 56.5%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9㎜ 이상 15㎜ 미만 제품은 377천㎥가 생산되어 전년 대비 8.5% 감소했으며 전체 생산량 중 28.5%를 차지 할 것으로 추정된다.

표9. 연도별 두께별 섬유판 생산량
표9. 연도별 두께별 섬유판 생산량

4.1.2. 수출입
2023년 섬유판 수입량은 225천㎥로 전년 대비 12.5%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태국산 섬유판 수입량은 전년 대비 26.6% 증가한 181천㎥로 추정되며 중국산 섬유판은 전년 대비 32.0% 감소한 17천㎥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섬유판 수입량 증가 원인은 국내 섬유판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섬유판 제품 가격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그림9. 국가별 섬유판 수입량
그림9. 국가별 섬유판 수입량

2023년 섬유판 수출량은 전년 대비 19.2% 감소한 21천㎥로 추정된다. 주요 수출국은 일본으로 13천㎥를 수출한 것으로 추정된다.

표10. 연도별 섬유판 수출량
표10. 연도별 섬유판 수출량

4.1.3. 소비
2023년 섬유판 소비량은 폐목재, 제재부산물 등의 섬유판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제품가격 상승과 이사수요 감소로 인한 가구용재 및 인테리어용재 수요 감소로 전년 대비 7.2% 감소한 1526천㎥로 추정된다. 섬유판 소비량은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2021년 펜데믹 영향으로 인한 가구용재 수요 증가로 상승한 이후 소비량은 지속 감소하고 있다. 2023년 섬유판 소비량은 2001년 이후 최저 소비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10. 섬유판 소비량, 생산량 및 수입량 추이
그림10. 섬유판 소비량, 생산량 및 수입량 추이

4.2. 수급 전망
2024년 섬유판 소비량은 제품 가격 상승, 이사수요 감소로 인한 가구용재 및 리모델링 수요 감소로 인한 인테리어용재의 지속적인 수요 감소로 전년 대비 2.3% 감소한 1491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 섬유판 생산량은 섬유판 수요 감소 영향 및 건설경기 침체로 인한 제재부산물 공급 불안 등으로 전년 대비 2.6% 감소한 1287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나무신문

표11. 섬유판 수급 전망
표11. 섬유판 수급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