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4.19 민주묘지에서 민주주의를 보다
국립 4.19 민주묘지에서 민주주의를 보다
  • 나무신문
  • 승인 2017.10.24 09: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재 | 장태동의 여행과 상념 - 서울시 강북구
▲ 국립 4.19 민주묘지 전경.

[나무신문] 햇살 좋은 가을이다. 시집 한 권 들고 집을 나서기 좋은 날씨다. 신경림을 읽다가 하종오까지 닿았다. 1984년 창작과비평사에서 낸 <사월에서 오월로>를 가방에 넣었다. 목적지는 수유동에 있는 국립 4.19 민주묘지였다. 

▲ 사월 학생 혁명 기념탑.

사월 학생 혁명 기념탑 앞에 선 사람들
서울시 강북구 수유동 산 9-1, 국립 4.19 민주묘지에 가을이 왔다. 물드는 단풍잎 마다 햇살이 반짝인다. 뜨겁게 살았던 지난 여름의 이야기를 하듯 울긋불긋한 단풍이 수런거리며 숲으로 번지기 시작한다. 

등산복 차림의 사람들, 엄마와 아이들, 짝 맞춰 옷을 입은 막 연애를 시작한 듯 보이는 젊은 남녀, 양산을 쓰고 담소를 나누며 걷는 아줌마들, 젊은 부부가 밀고 가는 휠체어에 앉은 노인…

▲ 국립 4.19 민주묘지 입구.

할아버지가 앉은 휠체어가 멈춘 곳은 ‘사월 학생 혁명 기념탑’ 이었다. 아무 말 없이 한 곳을 바라보는 노인의 시간 위에 햇살이 꼿꼿하다. 

‘사월 학생 혁명 기념탑’ 뒤에 382기의 묘가 있다. 4.19민주혁명 당시 이승만 정권의 독재와 부정부패한 권력에 항거하다 희생된 사람들이 묻혔다. 

국립 4.19 민주묘지 자료에 따르면 4.19민주혁명 당시 사망한 사람이 186명에 이르고 부상자는 수천 명에 이른다. 그 이후 사망자가 늘어남에 따라 현재까지 382기의 묘가 생긴 것이다.  

▲ 사월 학생 혁명 기념탑에 있는 조형물

1960년 4월19일은 민주주의의 염원이 폭발했던 날이다. 국립 4.19 민주묘지 자료에 따르면 1951년~1952년 당시 이승만 대통령이 간접선거로는 대통령에 당선되기 어렵게 되자 대통령 직선제 개헌안을 국회에 제출했으나 부결됐다. 이에 이승만 정권은 야당 국회의원을 탄압하여 대통령 직선제를 통과시키고 이승만은 대통령에 당선됐다. 

1954년에는 두 번 이상 대통령을 할 수 없게 한 헌법을 바꾸기 위해 초대 대통령에 한해서는 중임제 제한을 철폐한다는 개헌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 4.19혁명기념관.

개헌안 가결 정족수는 국회의원 203명 중 2/3인 135.333...명으로 136명이 찬성을 해야 했는데 135명 찬성에 그쳐 부결되었다. 그러자 ‘4사5입’이라는 수학의 관례를 적용해서 불법으로 개헌안을 통과시켰다. 

이승만과 자유당 정권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과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은 점점 높아지고 있었고 그 임계점이 1960년 제4대 대통령선거였다. 

▲ 국립 4.19 민주묘지에 있는 조형물

김주열의 죽음과 이승만 대통령의 하야
4.19혁명기념사업회가 4.19혁명 50주년을 맞아 발행한 <4.19 혁명사>에 따르면 1960년 2월28일 야당 부통령 후보인 장면이 대구 유세에 나섰는데 청중들이 모이지 못하도록 갖은 방법을 동원했다. 

그날이 일요일 임에도 불구하고 동회와 직장에서는 행사를 열게 했고 학생들을 시험, 토끼사냥, 임시수업, 졸업생송별회, 무용발표회 등을 명목으로 학교에 묶어두려고 했다. 하지만 학생들의 뜻을 막을 수 없었다. 학생들은 시내로 모였고 함성은 높아져만 갔다.  

2월28일 대구경북 지역을 시작으로, 서울, 수원, 대전, 충주, 청주, 부산, 마산, 진주, 창녕, 하동, 광주, 목포, 춘천, 전북 등 전국에서 민주주의를 갈망하는 학생과 시민들의 목소리가 끊임없이 터져 나왔다. 

▲ 국립 4.19 민주묘지의 태극기.

같은 해 제4대 정·부통령 선거에서 온갖 부정한 방법으로 당선된 자유당 이승만과 이기붕 정권에 대한 불신은 팽배했다.

<4.19 혁명사>에 따르면 사전 투표에서 총유권자 수 보다 투표자 수가 많이 나오자 공무원들이 투표함을 불태우는 일도 있었다. 이 밖에도 대리투표 공개투표 등 부정한 방법이 횡행했다. 

3월15일 마산에서 선거무효를 외치던 사람들 중에 김주열이라는 학생이 있었고, 그는 4월11일 눈에 최루탄이 박힌 채 마산 앞바다에서 발견 됐다. 

서울에서는 4월18일 고려대학교 학생들이 정치깡패들의 습격을 받는 일이 생겼고, 다음 날인 4월19일 거리로 나선 학생과 시민들을 향해 경찰은 총을 쏘기 시작했다. 

시위는 서울 뿐 아니라 전국에 일어났다. 이승만 정권은 전국에 비상계엄령을 선포했다. 하지만 전국적으로 일어난 학생과 시민들의 뜻을 꺾지 못했다. 1960년 4월26일 이승만 대통령은 하야했고, 시민의 힘으로 일군 민주주의의 초석이 대한민국 헌정사에 놓이게 되었다.

▲ 국립 4.19 민주묘지에 있는 시를 새긴 벽.

국립 4.19 민주묘지에 놓인 벽시
국립 4.19 민주묘지 경내에 거대한 벽이 6개 있다. 6개의 벽 양쪽 면에 4.19민주혁명을 노래한 시가 새겨졌다. 조지훈, 박목월, 구상 등 12명이 이 쓴 12편의 시 앞에서 사람들은 걸음을 멈춘다. 

등산복을 입은 아주머니가 박목월의 시 앞에서 멈추더니 핸드폰을 꺼내 시가 새겨진 벽을 사진에 담는다. 

▲ 국립 4.19 민주묘지 안에 설치된 벽에 시를 새겼다.

박목월은 <죽어서 영원히 사는 분들을 위하여>라는 제목의 시에서 ‘참된 뜻만이/죽은 자에서 산 자로/핏줄에 스며 이어가듯이’라는 구절로 영령을 기리고 있다.

조지훈이 쓴 시의 제목은 <진혼가>다. 조지훈은 시에서 젊은 혼으로 살아서 조국의 역사를 지켜봐달라고 말한다. 

구상은 마산 희생자를 위한 <진혹곡>에서 ‘형제들이 뿌리고 간 목숨의 꽃씨야/우리가 기어이 가꾸어 피우고야 말’것을 약속하고 있다. 

윤후명은 <역사를 증언하는 자들이여 4.19의 힘을 보라>라는 제목의 시에서 ‘뜨거운 피의 여울을,/역사를 증언하는 자들이여/그 힘을 보라.’고 외친다. 

그뿐이랴! <4.19 혁명사>에 그때 학생이었던 사람들이 당시 상황을 쓴 시가 실렸다. 쓰지 않고는 견딜 수 없었던 마음이다. 

집으로 돌아가는 시내버스 창밖으로 노을이 피어난다. 집에서 가지고 온 시집을 꺼냈다.   

장태동  
공식 직함은 기자. 그러나 사람들에게 그는 글 쓰고 사진 찍는 여행작가로 더 알려져 있다. 그 동안 온세통신, LG정유 사보에 여행 에세이를 기고했고 ‘한겨레리빙’, ‘굿데이365’ 등에 여행칼럼을 냈다. 저서로는 <서울문학기행>, <Just go 서울 경기>, <맛 골목 기행>, <명품올레 48> 등이 있다.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