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환경에 따른 생활공간
기후 환경에 따른 생활공간
  • 김오윤 기자
  • 승인 2016.08.31 13: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재 | 한옥 고치는 책1 “대청과 방” - 1. 소개편 CHAPTER 1생활공간의 개요-1 | 글·사진 = 국가한옥센터 auri

[나무신문 | 국가한옥센터 auri] 한옥에서의 주된 생활공간은 온돌로 구성된 방과 넓은 마루로 구성된 대청 공간으로 대표된다. 온돌(溫突)은 부엌 바닥에 위치한 아궁이에서 불을 때 면 불기운이 방 밑을 지나가게 해서 방바닥 전체의 온도를 높여주는 우리나라 고유의 난방 방식으로 추운 북쪽지방에서 발달하였다. 대청(大廳)은 한 자의 뜻 그대로 큰 마루라는 의미로 남방문화의 특징인 마루의 한 종류로서 목구조로 구성된 바닥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그 밑으로 통풍이 가능하게 하여 지면의 습기 방지 및 해충이나 뱀의 침입 방지 등 여름철 고온 다습한 기후에 대응한 공간이다. 

▲ 지역별 기후특색에 따른 한옥 공간유형

한옥의 온돌방과 대청공간은 형태적으로 폐쇄적 공간-개방적 공간, 지역적으로 북방문화-남방문화라는 각기 상반된 주거양식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연계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통합적인 공간으로 발전하였으며, 이는 한옥공간의 대표적인 특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장에서는 한옥 생활공간에서 중심공간으로 작용하는 대청공간과 방의 유래를 살펴보고, 생활공간의 구조 및 구성요소와 공간적 특성을 파악함으로 써 생활공간 리모델링에 앞서 이해를 돕고자 한다. 

기후적 특성 
주택의 가장 주된 기능 중 하나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하는 것이다. 이 중 기후는 주택의 형태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하는데, 지역별로 주택의 특성을 살펴 보면 기후에 대응하여 각각의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해온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는 반도로서 계절변화가 뚜렷하고, 대륙적이면서도 해양적인 기후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며, 기온에 있어서 남북으로 긴 형태로 남북 간의 온도차이가 큰 편이다. 이러한 기후의 영향으로 한옥 생활공간의 특징은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나는데, 이는 지역별로 공간간구조의 차이를 보이는 점과 북방 문화와 남 방문화가 공존하는 주거양식이 발달한 것이다. 

특히 한옥 생활공간의 대표적인 특징은 ‘구들과 마루의 복합구조’라는 점인데 구들은 북방에서 마루는 남방에서 유래하여 발전한 것인데, 이러한 북방문화와 남방문화가 결합된 주거 형태는 동아시아 주거에 있어 유일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그 문화사 적인 의미가 크다. 이것이 발전한 폐쇄적인 온돌방과 개방적인 대청공간이 결합된 방식은 한옥의 정형으로 나타나며, 한옥 공간구성의 가장 큰 특징을 이룬다.

지역별 기후특색에 따른 한옥 공간유형의 다양성 

한옥의 평면구성은 크게 겹집과 홑집으로 구분이 되며, 지역별 특색에 따라 관북형, 관서형, 중부형, 남부형, 제주도형, 울릉도 형 등으로 세분화 된다. 겹집은 한 용마루 아래에 두 줄로 나란 히 방이 배치되어 측면이 2칸 이상으로 구성된 집을 일컬으며, 홑집은 대들보 아래 방을 일렬로 배치하여 측면이 1칸으로 구 성된 집을 말한다. 겹집은 대체로 기온이 낮은 관북 지방과 태백 산지를 중심으로 주로 분포하는데, 겨울철 추위에 대비하여 보온효과를 높이기 위해 폐쇄적인 공간으로 구성되고, 홑집의 경우 이들 지역을 제외한 전역에 널리 분포하는데, 여름철 고온 다습한 기후에 대응하여 통풍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개방적인 공간구성이 나타난다. 

지역별 특색에 따른 평면구성을 살펴보면, 관북형의 경우 대청 마루가 없고 방은 전(田)자형으로 배치된 겹집의 형태로 정주 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정주간은 벽이 없이 부엌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공간으로, 부엌의 열기를 최대한 수용하여 겨울철 보온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공간이며, 식당과 거실의 역할로 이용된다. 

관서형, 중부형, 남부형은 홑집의 형태로 많이 나타나는데, 이 세 지방의 평면구성 차이점은 방-부엌의 연결과 대청의 크기를 들 수 있다. 중부형과 남부형은 대청을 중심으로 양쪽에 방이 배치되고, 안방에 부엌이 인접한 평면구성을 가지는 반면, 관서형의 경우 이와 달리 부엌을 중심으로 실이 배치되는 형태를 지닌다. 이는 추운 겨울날씨로 인해 하나의 부엌 아궁이를 통해 모든 방의 난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난방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반면 여름 기후에 대응하기 위해 대청의 크기는 북쪽지방에서 남부지방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되는데, 관서형은 마루의 형태로 존재하고 중부형은 일반적인 대청 형태, 남부형은 대청과 툇마루가 결합된 형태로 나타난다. 

자료제공 = 국가한옥센터 auri
(이 기사의 저작권은 국가한옥센터에 있습니다.)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