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 환경을 살리는 숲
기고 | 환경을 살리는 숲
  • 김오윤 기자
  • 승인 2015.12.07 10: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 안의 산림 분야 사회적기업들 - 박경복 이사장 (사)산림형사회적경제협의회
▲ 박경복 이사장(사)산림형사회적경제협의회

산림청·한국임업진흥원, 사회적기업 발굴 및 육성에 힘써
[나무신문 | (사)산림형사회적경제협의회 박경복 이사장] 정부는 지난 2011년 6월9일 제89차 국민경제대책회의 겸 제11차 국가고용전략회의에서 정부 각 부처의 사회적기업 발굴·육성을 지원키로 하며, 다양한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해 중앙부처 중심으로 소관분야에 특화된 (예비)사회적 기업을 발굴하도록 했다. 

이와 관련 산림청(청장 신원섭)은 사회적기업이 일자리 창출의 대안으로 부각됨에 따라 ‘산림형예비사회적기업 지정제도 및 사회적기업 인증추천제도 운영지침’을 2012년 5월에 마련했다. 이후 2012년 8월부터 산림분야 사회적 경제의 역량 강화를 위해 ‘산림형예비사회적기업’을 지정, 육성해 오고 있다. 더불어 산림 분야 사회적기업들의 취약성을 고려해 그동안 고용노동부나 지자체를 통해 지원되던 사업개발비지원, 컨설팅지원 등과 별개로 2015년부터는 부처형 지원기관인 (사)한국마이크로크레디트 신나는조합(상임이사 이성수)을 통해 직접 육성에 나섰다.

2012년 상반기 6개 기업으로 시작된 산림형 (예비)사회적기업은 2015년 11월 노동부인증 사회적기업 4곳, 예비사회적기업 25곳이 지정 운영되고 있다. 

한편 산림청으로부터 부처형인 산림형 (예비)사회적기업의 지정 및 육성업무를 위탁받은 한국임업진흥원(원장 김남균)에서는 임업지식통합서비스센터(센터장 이승학) 내 산림형예비사회적기업 전담인력(선임연구원 김정분)을 배치해 산림분야 사회적기업 발굴사업과 육성사업을 진행했다. 매년 워크숍 개최 등을 통해 각 기업의 역량 강화 및 네트워크, 판로개척을 위한 환경조성에 힘써 왔으며, 지역을 거점으로 하는 기업들이 지역형 예비사회적기업에 비해 상대적인 차별을 토로하는 부처형예비사회적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해당 자치단체를 직접 방문, 차별에 대한 시정을 권고하는 등 개별기업의 입장에서 현장 중심 정책을 실현하고 있다. 

▲ 2013년 11월18일 ‘산림분야 사회적경제 주체 간담회’

산림분야생태계구축의 주체, (사)산림형사회적경제협의회
노동부인증 사회적기업은 ㈜가든프로젝트(박경복), 대전충남생태연구소 숲으로(강경희), ㈜선문그린존(박용태), (협)자연누리숲학교(박영옥)로 총 4곳이며, 산림형예비사회적기업으로는 ㈜꿈꾸는소나무(박종열), 나무생산자단풍미인협동조합(김종관), 숲에인주식회사(황경선), 예일종합목재(주)(안윤호) 등 25개 기업이 있다.

이와 같은 총 29개의 산림분야 사회적기업들로 구성된 (사)산림형사회적경제협의회(이사장 박경복)는 2012년 설립된 단체로, 지난 5월 14일 사단법인으로 산림청 인가를 받고, 2015년 6월1일 등기를 마침으로써 부처형(예비)사회적기업으로서는 유일한 비영리 법인체로서 공익사업을 할 수 있게 됐다. 박경복 이사장은 취임 2년 차를 맞는 2016년 사업계획으로 대북 조림사업을 통해 탄소배출권 사업을 추진할 뜻을 밝힌 바 있다. 

▲ 2014 정책토론회

사업 추진 배경으로는 올해 6월30일 정부가 금년 12월 도출 예정인 新기후체제를 앞두고 우리나라의 자체적으로 결정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30년 BAU 대비 37%’로 결정했는데, 사회적 공론화 과정에서 우리나라가 제조업 위주의 성장 경제구조를 감안할 때 대폭적인 온실가스 감축이 어렵고, 국내 산업계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에 우리나라의 국제적 책임과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 유치 등 그동안 쌓아온 기후변화 대응 리더쉽 등을 고려하고, 에너지 신산업 및 제조업 혁신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차원에서 애초 감축 시나리오보다 목표 수준을 상향 조정한 점을 구체적 배경으로 언급했다. 

▲ 올해 11월4일 ‘제2차 산림형 예비사회적기업 선정’

박경복 이사장은 “북한에 산림을 조림하는 것은 어차피 통일비용에 해당한다”며 “북한의 산림도 가꾸고 탄소배출권도 확보하면, 굳이 외국에서 탄소배출권을 수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