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0회 식목일, 분단 70주년 맞아 바라본 ‘남북한의 숲’
제70회 식목일, 분단 70주년 맞아 바라본 ‘남북한의 숲’
  • 김오윤 기자
  • 승인 2015.04.06 13: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일 대한민국의 첫 걸음, 북한 산림복구사업으로 시작

북한 산림복구로 연평균 약 1조원 경제손실 줄일 수 있어

 

▲ 천리안 위성영상으로 분석한 남북한 산림현황.

[나무신문] 산림청은 분단 70년·제 70회 식목일을 맞아 남북한의 산림현황을 한 눈에 비교해 볼 수 있는 ‘2015년 남북한의 숲’ 위성영상자료를 지난달 26일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영상자료는 국내위성 ‘천리안’이 2014년 가을 찍은 자료로, 남한지역은 영토 대부분이 울창한 산림에 둘러싸여 있는 반면, 북한의 산림은 자강도, 양강도, 함경북도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산림을 찾기 힘들 정도로 황폐화 되어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0년 기준으로 남한의 산림축적은 125.6㎥/ha에 달하는 반면 북한의 산림축적은 약 38㎥/ha 정도에 그치는 상황이다.

 

북한 산림복구, 북한 산림정보에 대한 과학적 분석에서 시작
이번 영상공개는 산림청 산하 한국임업진흥원이 지난 3월부터 추진 중인 북한 산림모니터링 활동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진흥원은 모니터링을 통해 북한 산림황폐지와 우선 조림대상지역을 선정하는 등 산림복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현재 진흥원은 국내외 위성자료와 최신 위성자료처리기법을 활용해 북한지역의 산림과 비산림지역을 구분하고, 비산림지역 가운데 산림 황폐지역을 분석하고 있다.

그 동안 북한 산림통계는 발표하는 기관마다 상이해 구체적인 북한 산림복구 계획을 수립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진흥원은 인공위성 영상을 기반으로 산림과 황폐지를 구분하는 등 북한 산림현황에 대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북한 산림복구사업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와 함께 진흥원은 북한 토양정보를 분석하여 보다 체계적인 북한 산림황폐지 복구를 지원할 계획이다. 향후 북한 산림복구사업이 시행될 시 각 토양환경에 맞는 수종을 조림대상으로 선정하기 위한 사전 분석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위성영상분석을 통해 제작된 북한 산림지도와 함께 지질도, 토양도, 수치표고모델(DEM)을 이용한 북한 토양특성 분석으로 황폐지역에 적절한 조림 수종 선정 및 수종별 조림대상 면적을 산정할 예정이다.

 

북한 산림 인프라 조기 구축으로 경제효과 달성
남한은 1970년대 이후 치산녹화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으로 산림녹화에 성공한 반면, 북한은 과거 산림이 영토의 80% 이상을 차지했으나, 현재는 30%넘게 감소했다. 유엔 식량 농업 기구에 따르면 매년 평양시 면적에 해당하는 11만2000천 ha의 산림이 사라지고 있다.

북한의 산림 황폐화는 임진강 상류 지역의 잦은 범람을 초래해 지난 1998년과 1999년에는 임진강 하류에 밀접한 남한지역에 163명의 인명피해와 약 6천억 원에 이르는 재산피해를 입히기도 하는 등 그대로 방치해 놓을 수 없는 실정이다.

북한의 산림 황폐화를 막고 통일을 대비하기 위한 산림 인프라를 조기에 구축한다면, 지금 당장 남한에 끼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미래의 통일 한반도를 위한 든든한 수익원까지도 될 수 있다.

북한의 산림복구사업이 이루어지면 통일 이후 발생할 천문학적인 환경 복구비용을 사전에 절감할 수 있다. 실제로 독일은 통일 과정에서 동독지역의 환경 복구에만 전체 통일 비용의 20%를 투자 할 만큼 큰 대가를 치른 바 있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 크다.

또한, 북한의 산림이 복구되면 북한 집중호우 시 대한민국에서 발생하는 연평균 약 1조 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과 인명피해를 낮출 수 있고, 산사태, 병충해 전염 피해 등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북한 지역의 온난화로 인한 강수량 감소에 따른 식량난과 식수원 부족을 해결하는 등 인도적 차원에서의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특히, 현대경제원 연구 발표에 따르면 북한 산림 복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권(기한부 배출권 : ICER)은 약 2555만 t CO₂(25년 차 마지막 기준)로 이를 판매 수익으로 환산했을 때 약 1억4천만 달러의 경제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어 훌륭한 미래 국가 수익원이 될 수 있다. 여기에 복구한 산림을 장기적으로 관리하면서 목재를 판매하게 될 경우 목재 판매 수입까지도 기대할 수 있다.

김남균 한국임업진흥원장은 “통일 이후의 경제 환경뿐만 아니라 북한 주민들의 생계와 관련된 인도적 차원에서도 북한 산림복구사업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필수 과제”라며 “한국임업진흥원이 제공하는 과학적 자료가 통일 한반도 시대를 준비하는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