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주혁의 실용 수입목재 가이드 | 용어 해설
권주혁의 실용 수입목재 가이드 | 용어 해설
  • 나무신문
  • 승인 2014.02.2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 목재의 이해 4/4

방대한 현장실사를 바탕으로 한 전문가적 식견으로 출간과 함께 화제를 접중시킨 『권주혁의 실용 수입목재 가이드』의 주요내용을 연재한다.
저자는 지난 30여년 동안 전 세계 산림지대를 누비며 목재수종과 상용 목재자원을 조사했다. 이 중 우리나라에 도입되었거나, 앞으로 도입될 가능성이 있는 것, 도입되었으나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수종을 중심으로 전 세계 230여 주요수종에 대한 정보를 이 책에 담았다.
- 편집자주


▷ 가도관; 도관이 없는 침엽수에서는 가도관이 수분의 통도작용과 수체지지(樹 난支持)의 기계적인 작용을 겸해서 하고 있다.

 

▷ 건조; 입목(立木)을 자르면 대기 중에서 목재 내부에 있던 수분이 빠진다. 따라서 목재가 건조되면서 목재치수는 감소하게 된다.

 

▷ 광택(光澤;Luster); 세포막의 반사에 의해서 광선이 재면(材面)에 반사되는 상태를 말한다.

 

▷ 내후성(耐朽性); 목재의 세포는 공기, 수분 그리고 부패균에 의해 썩게 된다. 그러나 그 부패 정도는 각 수종마다 다르다. 목재의 부패에 대한 저항 성질이다.

 

▷ 도관; 활엽수의 뿌리에서 수분(水分)을 수간, 가지, 잎으로 이동시키는 통도작용(通導作用)을 하는 관공으로서 침엽수에는 없다. 도관의 유무는 목재 식별시 침엽수와 활엽수를 구분하는 가장 쉽고 정확한 척도이다(나뭇잎 모양을 가지고 판단하는 것은 예외가 있으므로 완전치 않다).

 

▷ 말구(末口;Top End); 원구와 반대 방향의 직경이 작은 단면.

 

▷ 목리(木理;Wood Grain); 목재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의 배열과 방향이 재면에 나타난 상태. 정상적인 목재는 세포의 배열 방향이 수축(樹軸)과 같은 방향인 직선으로 나타나므로 이를 ‘직선목리(直線木理; Straight Grain)’ 또는 ‘통직(通直)목리’라고 한다.

이와 비교하여, 세포가 수축의 방향과 어떤 각도를 가진 비정상적인 배열(나무결이 교차되어 있는)을 하고 있는 것을 ‘교주(交走; Cross)목리’라고 하며, 여기에는 ‘나선(螺旋;Spiral)목리’, ‘교차(交叉; Interlocked)목리’, ‘사주(斜走; Diagonal)목리’ 등이 있다.

 

▷ 목조직(木組織;Wood Texture); 목재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의 대소(大小), 질(質), 정조(精粗) 등 차이에 의하여 나타나는 재면(材面)의 상태를 말한다. 즉, 목재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가 평균 이상의 큰 세포로 구성되어 있을 때 그 목재의 재면을 거친 조직(꺼칠꺼칠함)이라고 말하며, 이와 반대로 평균 이하의 작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는 재면을 고른 조직(매끈함)이라고 한다.

 

▲ 목재의 단면
▷ 목재의 단면(斷面); 목재의 육안적 구조를 관찰하기 위해, 목재의 절단방향에 따라서 3가지 단면을 일반적으로 관찰하게 된다. 이 가운데 횡단면(橫斷面; Cross Section)은 수축(樹軸)이나 목리에 직각이 되게 잘라낸 단면이다. 경단면(經斷面; Radial Section)은 나무 중심부인 수(隨)에서 시작하여 수선(隨線)방향으로 잘라낸 단면으로서 정목면(柾目面)이라고도 한다. 마지막으로, 횡단면 상에서 수선에 직각이 되고 연륜에 접선이 되게 잘라낸 단면은 촉단면(觸斷面; Tangential Section)인 바, 판목면(板木面)이라고도 한다.

 

▷ 문리(紋理;Wood Figure); 재면에 나타난 재색(材色) 또는 목재 세포의 특수한 배열로 인해서 아름다운 모양을 나타내는 재면의 상태.

 

▷ 유조직(柔組織; Parenchyma); 유세포(柔細胞; Parenchyma Cell)는 나무에서 중요한 양분을 저장하는 작용을 하며 유조직은 이 유세포가 모여서 집합체를 이룬 것이다.

 

▷ 방사조직(放射組織;Wood Ray); 나무의 가운데에서 바깥쪽(수피)으로 뻗어나가는 모양을 가진 세포군(細胞群)이다.

 

▷ 변재(邊材;Sapwood); 나무의 외부 쪽으로 있는 여러 개의 연륜층은 생활기능을 가지고 있는 세포조직으로 되어있어 이곳을 통해 양분을 저장하고 수액(樹液)을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생활기능을 갖고 있는 부분이다.

 

▷ 비중(比重;Specific Gravity); 중량을 부피로 나눈 것으로서 목재의 경우는 생재(生材)비중, 기건(氣乾)비중, 전건(全乾)비중이 있다. 생재비중은 입목(立木)상태를 기준으로, 기건비중은 일반 대기중에서, 전건비중은 실험실에서 완전건조시를 기준한 것이다. 목재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기건비중(함수율 12% 기준)을 말한다.

 

▷ 심재(心材;Heartwood); 시간이 지나면서 변재의 생활세포가 없어지게 되면 변재는 생활력을 잃고 세포막만 남게 되어 나무를 지지하는 역할만 하게 된다. 이 부분의 목재(나무의 내부)이다.

 

▷ 연륜(年輪;Annual Ring); 온대지방과 한대지방에서, 계절적인 세포 성장의 차이 때문에(겨울에는 생장을 중지하므로) 나무에 나타나는 나이테. 침엽수에는 매우 규칙적으로 나타나지만 활엽수에서는 불규칙하게 나타난다. 일년 내내 성장하는 열대재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 원구(元口;Butt End); 원목에서 뿌리가 붙었던 방향의 한 쪽 단면.

 

▷ 침엽수(針葉樹;Coniferous tree); 고등(高等)식물인 종자식물문(種子植物門)은 종자를 갖는 방법에 따라 나자(裸子) 식물과 피자(被子)식물로 구분하는 바 침엽수는 나자식물에 해당한다. 나자식물은 세계에 약 650종이 생존하고 있으며 이 식물의 많은 종류(목본류)가 침엽수로 불리며 주로 북반구에 생육하고 있다.

침엽수는 폭과 길이가 균일한 가도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재질이 균일하고 약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연재(軟材; Softwood)라고 부르며, 잎은 소나무처럼 대부분 바늘모양을 하고 있다(그러나 열대재인 아가티스나 온대재인 은행나무는 침엽수임에도 넓은 잎을 가지고 있음). 전 세계 540여 종 침엽수 가운데 상업적으로 거래되어 사용되고 있는 주요 수종은 약 40 종에 불과하다.

 

▷ 학명(學名;Scientific Name); 동식물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국제적으로 확약한 이름이다. 계(界), 문(門), 강(綱), 목(目), 과(科), 속(屬), 종(種)의 차례로 필요에 따라서 분류하게 된다.
이 가운데 과, 속, 종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하면 목재 무역과 산업에 있어 실무적으로 유용한 도움을 받아 누구나 전문가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서에서는 과, 속, 종의 순서에 따라 수종 설명이 되어있다. 식물계에서는 학명을 Botanical Name으로 부르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학명이라 하면 속, 종 만을 표기하기도 한다.

……

  • 더 자세한 내용은 <권주혁의 실용 수입목재 가이드> 29페이지 참조.

 


 

권주혁 
용산고등학교 졸업(22회)
서울 대학교 농과대학 임산가공학과 졸업
파푸아뉴기니 불로로(Bulolo) 열대삼림대학 수료
목재전문기업(이건산업)에서 34년 근무기간중 25년 이상을 해외(남태평양, 남아메리카) 근무
퇴직후 8개월 배낭여행 25개국 포함, 90개국 방문
강원대학교 산림환경대학 초빙교수(3년)
현재, 동원산업 상임고문
저서 <권주혁의 실용 수입목재 가이드>, <세계의 목재자원을 찾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