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나 했더니 역시나” 실망…“올해 안 토론회라도 열어야”
“치산녹화 단계에 머문 조직부터 목재산업 위주로 
개편해야”
![]()  | 
    ||
청은 지난 5월 목재산업을 녹색정장산업으로 육성키 위한 10년 전략과 추진과제를 마련한다는 목표로 ‘목재산업대책 수립을 위한 TF팀’을 구성, 당시 이상길 차장이 주재한 킥오프 회의를 개최하는 등 의욕적인 행보를 보인 바 있다.
TF팀은 산림청을 비롯한 학계 및 업계 관계자 45명이 참여해, 자문위원회 공급안정분과 산업경쟁력분과 이용활성화분과 외국제도분과 
경제분석분과 실무작업반 등으로 구성됐다. 이를 통해 6월까지 분과별 작업 및 초안작성, 7월 토론회 개최, 8~9월 수정안 마련, 9월 공청회 
개최, 10월 대책안 확정 등 순으로 진행하고, 확정된 대책안은 가능한 2011년도 정부예산에 반영한다는 게 산림청의 계획이었다.
이 과정에서 산림청은 이례적으로 나무신문 한국목재신문 목재신문 등 목재산업 전문지들을 참여시키는 등 대대적인 홍보에도 힘쓰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11월24일 현재 이 계획은 ‘분과별 작업 및 초안작성’ 단계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산림청이 또 말만 
앞선 행정으로 목재업계에 실망만 안겨주고 있다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또 현재의 산림청 직제로는 목재산업진흥대책 마련 자체가 요원하다는 목소리와 함께, 이참에 목재산업을 관할하는 인원 충원을 골자로 
하는 직제개편이 선행돼야 한다는 분석이다.
현재 목새산업을 주관하는 산림청 목재생산과 인원은 총 11명이며, 이 중에서 목재산업 담당은 
2명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진선필 목재생산과장은 “각 분과에서 올라온 초안이 토론회를 개최할 만큼 완벽하지 않아 실무작업반(목재생산과)에서 다시 보완하는 
작업을 거치고 있는 상황”이라며 “그동안 국정감사와 예산안심의 등 일정과 겹치면서 이마져도 원활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진 
과장은 또 “올해 안에 끝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빨라도 내년 상반기까지는 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에 대해 목재업계의 한 관계자는 “산림청이 처음에 목재산업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는 것만으로도 기대하는 바가 컸다”면서 
“하지만 이렇게 흐지부지 없던 일처럼 넘어가는 것을 보고 있자니, ‘혹시나’ 했던 마음이 ‘역시나’로 바뀌었다”고 꼬집었다.
인천의 또 다른 관계자는 “공청회를 한다고 해서 산림청과 소통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해 기다리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며 
“초안작성 전이라도, 올해가 가기 전에 공청회를 개최해서 모처럼 불고 있는 목재업계의 산림청에 대한 관심이 식지 않게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아울러 ‘산림청의 목재산업 담당자가 2명에 불과하다’는 점에 대해, 한 업체 대표는 “2명의 인원으로 목재산업 진흥을 위한 10년 
대책을 마련한다는 것 자체에 문제가 있어 보인다”며 “과거 치산녹화 단계에 머물러 있는 산림청 조직이 하루빨리 녹색성장을 주도하는 목재산업 
위주로 개편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