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피해목 활용한 ‘국가산림위성정보활용센터’ 소개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산불로 발생한 피해목을 건축용 자재로 활용한 국내 최초의 공공건축물 사례로, 서울 강동구에 위치한 국가산림위성정보활용센터를 소개하며 피해목 자원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국가산림위성정보활용센터는 연면적 968.9㎡ 규모의 2층 건물로, 2022년 경북‧강원 산불 당시 발생한 소나무 피해목 98㎥를 포함해 총 134㎥의 국산 목재가 사용됐다. 피해목은 외부의 탄화층을 제거한 후 내부 재질을 분석한 결과, 건축용 목재로 손색이 없다는 국립산림과학원의 연구에 따라 구조부재, 외장재, 데크재 등으로 활용되었다.
이 건축물은 단순한 친환경 건축을 넘어, 산불 피해목의 건축자재 활용 가능성을 실증한 자원 순환형 공공건축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사용된 목재를 통한 탄소 저장량은 약 30톤에 달하며, 이는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자동차 74대의 연간 탄소 배출량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상민 목재공학연구과 과장은 “산불 피해목의 건축용 활용은 자원 재활용과 탄소 저감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라며, “앞으로도 피해목의 활용처를 다양화해 산림재난을 기회로 전환하는 정책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나무신문
저작권자 © 나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