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와 세종시는 6일 조치원 문화정원을 비롯해 1927아트센터, 장욱진 생가 등 3곳을 ‘우수건축자산’으로 등록했다. 세종시에서는 처음으로 지정된 사례다.
조치원 문화정원(제1호)은 1935년 정수장으로 지어졌다. 그러나 2013년 이후 폐쇄된 채 방치되다가 2019년 전시와 휴식이 가능한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정수장 외형을 유지하면서 내부를 재해석해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조천과 벚나무가 어우러진 이곳은 개방 이후 시민과 관광객이 꾸준히 찾는 명소로 자리 잡았다.
제2호 우수건축자산으로 지정된 ‘조치원 1927 아트센터’는 원래 섬유공장으로 1927년 지어졌으며, 이후 제지공장으로 사용되다가 2003년 폐쇄됐다. 20년간 방치된 건물을 복원해 현재는 공연장과 전시장, 카페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건물의 ‘목조 트러스 구조’는 근현대 산업건축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어 건축사적으로도 의미가 크다.
제3호로 지정된 장욱진 생가는 한국 근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장욱진 화백이 태어난 곳이다. 1905년에 지어진 주택으로, 안채의 원형이 잘 보존돼 있어 근대 주거문화와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이번 지정으로 생가는 문화·역사적 가치를 더욱 인정받게 됐다.
국토부는 전국 6624개 건축자산의 보전과 활용을 위해 ‘제3차 건축자산 진흥 기본계획(2026~2030)’을 연내 수립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도시건축자산이 지역의 문화·관광 거점이 되도록 제도를 정비하고 지원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장우철 국토부 건축정책관은 “잘 활용된 건축유산은 쇠퇴한 도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다”며 “우수한 도시건축자산을 창출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두희 세종시 도시주택국장은 “우수건축자산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할 것”이라며 시민들의 관심을 당부했다.
건축자산이란 현재·미래에 걸쳐 사회경제·역사문화·경관적 가치를 갖고 있어 건축문화 진흥 및 지역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는 건축물 등을 말한다. /나무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