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조건축대전 | 오동 숲속도서관 Tornado Street
목조건축대전 | 오동 숲속도서관 Tornado Street
  • 김오윤 기자
  • 승인 2024.05.23 10: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3 대한민국목조건축대전 준공부문 | 특별상
ⓒ 남궁선

‘2024 제22회 대한민국목조건축대전 공모전’ 참가 접수가 4월26일 시작됐다. 올해 주제는 ‘기계 나무 시대의 짓기와 잇기’. 준공부문과 계획부문으로 각각 진행되는 공모전은 산림청이 주최하고 한국목조건축협회가 주관하며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후원하고 있다. 지난해 수상작들을 연재한다.  <편집자 주>

건축개요
위치▷하월곡동 
대지면적▷997.5㎡
연면적▷431.2㎡
건축면적▷431.2㎡
규모▷지상 1층
주구조▷목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설계자▷운생동건축사사무소 신창훈
시공자▷원하건설(주) 박준상
사진작가▷남궁선

ⓒ 남궁선
ⓒ 남궁선

순환하는 마을 책쉼터 Social Revolving Library
공공 쉼터의 재탄생

오동근린공원 자락길은 주민에게 사랑받는 쉼터지만 오래된 목재 파쇄장의 방치로 인해 먼지와 소음이 발생하는 등 민원이 끊이지 않았다. 주민들은 새로운 건축적 제안이 필요했고, 이에 우리는 책과 소통할 수 있는 숲속도서관을 공공 쉼터로서 제공하고자 한다.

자연과 중첩의 도서관
오동근린공원 자락길을 따라 회전하는 흐름은 월곡산의 자연에 따라 산의 중첩이라는 조형적 개념으로 변형된다. 이는 오동공원 광장에서 시작해 북카페, 독서공간, 주민커뮤니티 시설로 이어지며 기존 도서관의 책장을 가구로 의 책장뿐만이 아니라 중첩이라는 새로운 공간 형성을 유도하도록 제안한다.

공원 길의 확장 / 자연의 중첩
책장과 공간의 중첩 / 중첩의 구조

Design Process
공원 길의 확장
오동공원 자락길의 흐름을 따라 대상지 내에 회전하는 길을 확장하고 도서관 공간으로 끌어들인다.

오동 숲속도서관은 산책로의 시작점과 같은 위치에 자리 잡아 공원 길의 연장으로서의 공간을 구성한다. 입체적으로 산책로를 연결하는 외부길의 연장으로 회전하는 길의 형상을 공간적인 유니버설 개념으로 구성하려 한다.

길의 연장으로 점점 가운데 공간을 향해 회전하는 데크를 지붕의 구조로 변형시켜 하부에 열린 공간을 구성했다.

ⓒ 남궁선
ⓒ 남궁선

자연의 중첩
오동공원 월곡산 자연의 모습은 중첩된 길을 만나며 주민들에게 새로운 공간의 느낌을 제공한다.

토네이도 형식의 지붕은 가운데 메인 공간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산의 형태를 띤다.

폴딩된 지붕 공간은 서로 다른 높이의 차이 사이로 자연채광의 빛이 쏟아지는 경험을 제공한다.

내부에서는 투명성의 공간으로 작용하며 반 외부적 공간의 경험을 제공한다.

ⓒ 남궁선
ⓒ 남궁선

책장과 공간의 중첩
책장의 위치에 따라 중첩의 공간으로 이끄는 동선은 가구로의 책장이 아닌 공간 형성이라는 특별한 경험을 준다. 책꽂이 월은 공간을 구성하는 구조이면서 분할이고 배분하는 장치이다.

과거의 월이 구조적 한계에 의해서 고전적이며 공간적 소통을 막아서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면, 우리가 제안하는 책꽂이 월은 유동하는 공간을 구성해 서로 소통하여 통합되고 혹은 적절히 독립되는 이중적인 미로 구조를 재현한다. 

중첩의 구조
목구조를 통한 지붕과 중첩된 공간의 표현은 오동 숲속도서관의 개념을 극대화한다.

책꽃이 월의 배치와 크기는 프로그램 배치와 구조의 적용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데에 있다.

즉, 가구와 공간과 구조의 조화를 실현하려 했다.

지붕과 구조의 공간형성
배치도

외부 공간 계획
휴게데크

①공원을 바라보며 즐기는 스탠딩형 휴게공간 계획
②오동공원 자락길에서 접근이 가능한 장애인용 경사로 설치
③휴게스탠드와 북카페가 결합한 회랑 공간 계획
④휴게스탠드와 자연지반을 이용한 수목 계획

ⓒ 남궁선
ⓒ 남궁선

회랑
①등산로와 연속된 산책형 회랑 계획
②오동공원 광장에서 접근이 가능한 장애인용 경사로 설치
③구조와 가구 단열시스템의 결합
④야간 보행 여건을 고려한 경관조명 설치

1층 평면도
단면도

내부 공간 계획
커뮤니티 공간
①목구조 기둥으로 둘러싸인 커뮤니티 공간 계획
②좌굴방지를 위한 전단벽체 형성
③산세를 닮은 지붕구조와 채광과 자연 환기를 위한 고측창 계획

인포데스크
①도서관리 및 창호, 조명을 통합운영하는 관리자 공간 계획
②휠체어 사용자를 고려한 높이, 너비의 인포데스크 계획
③홍보기능과 수납기능의 인포데스크 가구 계획

ⓒ 남궁선

북카페 주방
①외부에서 직접 테이크아웃이 가능한 미서기창 설치
②통일감 있는 재료 계획
③사용자의 동선을 고려한 북카페 주방 가구 계획 

ⓒ 남궁선

독서공간
①자연을 바라보는 책상 설치
②지붕의 구조와 결합한 라인조명 설치
③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콘센트 배치 및 전기배선 계획   /나무신문

자료제공=한국목조건축협회
정리=김오윤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