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속 자연 : 단양 생태탐방원 계획안 | 2024 대한민국목조건축대전 계획부문 우수상
이선주, 김민준(명지대학교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건축학전공)
“자연은 결코 우리를 속이지 않는다. 우리가 자연을 제대로 이해한다면, 그것은 언제나 진리를 말해준다.” _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
자연과의 소통이 단절된 요즘, 사람들의 관심은 자연을 가까이 둔 채로 스쳐 지나간다. 대한민국에서 숲이 차지하는 비율이 63%에 달하지만, 숲이 어떤 기능과 미학적 요소를 지니는지 대중들은 잘 알지 못한 채 살아간다.
발전하는 기술과 대중의 자연에 대한 관심이 조화를 이룰 때, 비로소 삶을 영위하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진다. 생태탐방원은 단순한 건물이 아니라 자연과 인간의 깊은 연결을 표현하는 공간이다. 이는 자연을 이용하고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 그 자체를 느끼고 제대로 알아갈 수 있는 매개체로서 지역 생태계와 건축이 상생하는 곳을 지향한다.
사람들은 격자의 목구조 지붕 아래 놓인 아케이드 같은 광장에서 모이며, 저마다의 시선이 건축과 사람, 자연으로 이어진다.
Site Plan
다양한 생태시설들이 위치한 사이트 일대는 다양한 관광객들이 모이는 곳이며 이들을 하나로 모으는 곳이다. 사람들에게 자연은 휴식의 장소이자 커뮤니티의 장소가 된다.
Plan Diagram
Mass Development
1. 대지 규격에 맞춘 매스 배치
사이트 오른쪽에는 단양 생태 체육공원이 있고, 뒤쪽으로는 산이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매스의 형태와 높이 설정
2. 용도별 구역 분리
크게 세 가지로 용도를 분류하여 크기 및 구역을 설정하며, 출입 방향을 통한 사용자의 이동 동선을 구획
3. 높이 조절 및 정원 배치
자연을 향하여 시선을 열어주는 정원 배치 및 주변 관계를 통한 높이 조절
4. 매스의 유동적인 변화
서로 간의 시선을 고려한 매스들의 변화를 통해 시선 및 동선의 다양성 추구
5. 노출 코어의 형성
외부로 노출된 코어를 통하여 쉬운 접근과 동선의 이동을 더욱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야외 정원을 통한 소통의 가능성 열어둠.
Structure Section
Isometric Diagram 2F Grass
/ 나무신문 | 자료제공=(사)한국목조건축협회 / 정리=김오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