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국제 목재산업 동향-1
6월 국제 목재산업 동향-1
  • 나무신문
  • 승인 2010.07.2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태국,호주

자료=산림청 목재생산과/정리=김오윤 기자


중국

수요 동향
부동산 시장
- 중국 부동산시장 거품 붕괴 조짐이 감지되고 있음. 2010년 6월 중국 70대 주요 도시 주택 가격이 16개월 만에 처음 전월 대비 하락세로 전환됨.
- 중국 집값이 앞으로 수개월 내에 20% 가까이 급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벌써 경고하고 있음.
- 중국 당국은 주요 70대 도시에서 전년 동기 대비 주택값 상승률이 4월 12.8%, 5월 12.4%, 6월 11.4%로 점차 낮아지는 데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아울러 앞으로도 주택시장 투기 방지ㆍ압박 정책을 계속해 나가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음.


- 중국 정부는 지난 4월 중순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고 투기 조짐마저 보이자 주택 3채 보유자에 대한 은행 대출을 금지하고, 주택 2채 보유 자에 대해서도 주택 가격의 50%만 융자하고 이자율도 높게 책정하는 등 부동산 규제 조치에 들어갔음.
- 중국은 도시화가 급진전되면서 주택 수요가 아직 높아 주택 등 부동산 시장의 급락을 중국 지방정부나 중앙정부가 방치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음. 중국 합판 수요 정체 지속.
- 유럽 바이어들의 중국합판에 대한 수요가 최근 몇 주간 정체되었음.
- 유로화 약세 및 그에 따른 구매비용의 상승으로 재고를 제한하려는 노력이 더해지면서 나타나고 있음.
- 공급 보틀넥은 일부 서유럽 MLH 그레이드 제품에서 나타났으며, 중국 합판의 공급은 양호함.

 

생산 동향
인조판넬
- 중국 인조판넬 총생산량이 2,100만㎥에 달하고 세계 제2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원재료 문제를 아직 해결하지 못하고 있음.
- 합판제조는 주로 수입목과 중국내 대경목에 의존하고 MDF와 PB는 주로 소경목, 차질목을 사용함. 수입목은 많은 외화가 필요하고 중국내 천연목은 국가 천연림 보호로 공급이 제한적이어서 모두 장기적인 인조판넬 원재료로 되기 어려움.
- 20세기 중반에 조림한 포플러와 유칼리 등 속성목이 현재 중국 인조판넬 산업에 좋은 원재료가 되고 있음. MDF와 PB는 물론 합판 생산에서도 중요한 자리를 잡아가고 있음.
- 중국주요 속성림 건설 프로젝트 실시 후 2015년에 1.3억㎥ 목재를 공급할 수 있을 것이며 목재 공급과 수요의 평형도 이루어질 것임.
- 현재 증국 인공 조림목량은 79.2㎥/㏊ 로서 세계평균 110.7㎥/㏊ 보다 많이 뒤떨어져 있는 상황임.

가격 동향
동남아 원목
- Siam Rosewood (大?酸枝)는 현재 광동시장에서 15-25cm、길이2-2.5m、 재고 가격이 4.8-5만 위안/톤으로 가격이 높음.
- Maidu(?足紫檀)의 현재 광동시장 가격은 8,500~9,000위안/톤.
- 말레시아 SHOREA(梢木) 현재 광동시장 가격은 3,200~3,500위안/㎥.
- Burma Padauk 교역량이 상승하고 있으며 현재 가격은 30~60cm경은 1.3~1.5만 위안/톤 직경60cm이상은 1.8~2.0만 위안/톤.


- Merbau 교역량과 가격 모두 보합세. 현재 광동 시장 가격은 60~79cm가 4,800위안/㎥,직경80cm이상은 5,300~5,500위안/㎥.
- Lauan 원목 가격은 1,600~2,100위안/㎥ 이고 공급이 충분하고 Kapur (山樟) 가격은 2,400위안~3,000위안/㎥.


아프리카 원목
- Sapele는 현재 광동시장에서 2,800~3,300위안/㎥이고 Okoume 2,200~2,800
위안/㎥이며 Tali는 3,300위안/㎥.
- Ambila의 현재 광동시장 가격은 3,400~3,500위안/ton으로 가격 인하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
- Paorosa 가격이 인상되어 직경70cm 가격이 7,800~8,000위안/㎥ 이며 현재 Paorosa 수요는 많으며 특히 대경목 수요가 많음.
- Swartzia Madagascariensis는 교역량이 감소되고 가격이 떨어져 현재 공급은 충분하나 대부분 소경목이여서 가구공장들에서 구매하지 않고 있어 교역량이 줄고 가격도 4월부터 인하하기 시작하였음.
현재 광동 시장의 원목 가격은 6,500위안/톤이고 제재목 가격은 5,200위안/㎥ 으로 하락하였음.


- Wenge, Umbila는 출하속도가 빠르고 교역량도 대폭 증가하여 가격도 인상되었음. 현재 광동시장의 Wenge (非洲小?翅) 가격은 4,300위안/㎥이고 Umbila(?高棉)가격은 3,900~4,200위안/㎥임.
쪾 남미 원목
- 남미 merbau가 침체 틈새를 타 교역량이 증가하였음. 광동시장의 현재 가격은 경80cm 이상이 3,500~3,800위안/㎥.
- Cocobollo현재 광동시장 가격은 1.9~2.5만 위안/톤.
- 남미 Swartizia (南美?木豆) 현재 광동시장 가격은 3,500위안/㎥이고 장가항 가격은 3,400위안/㎥.
- Ipe 현재 광동시장 가격은 3,600~3,700위안/㎥.


동북 원목
- 현재 수분하, 만주리의 러시아재 가격은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음.
- 수분하의 oak 직경 36~38cm, 1~2등급 가격은 3,600~3,700위안/㎥이고, Ash 직경40cm、1~2등급 가격은 3,350위안/㎥,White birch 직경30cm、 1~2등급 가격은 980위안/㎥ Maple 직경35cm、1~2등급 가격은 1,200 위안/㎥,Lach 직경22cm이상、1등급 가격은 950위안/㎥임.


동남아 제재목
- Betula alnoides 판매량이 줄고 있고 이와 비슷한 재질을 갖고 있는 Eugenia uniflora(番?桃) 가 저가우세로 시장을 점유하고 있음. 현재 광동시장의 betula alnoides 가격은 길이2.2~2.6m、두께 5cm、A급재는 4,600~4,800위안/㎥.
- Golden teak, Keruing등은 판매량이 감소되고 있음. 현재 광동시장의 Golden teak 길이2.2~2.6m、두께5cm、무절제재목 가격은 4,800~5,200 위안/㎥, Keruing 길이2.2~2.6m、두께5cm、무절재 가격은 4,300~4,700 위안/㎥.


아프리카 제재목
- 최근 아프리카 제재목 가격은 여전히 보합세이며 수요가 감소하여 가격은 인상할 가능성이 없으며 또한 아프리카 산지 목재가격이 인상되어 비수기라 해도 가격을 하향 조정 하지 않을 것으로 보임.
- Bubinga(巴花) 판매량은 여전히 적지 않으며 현재 광동 시장 가격은 길이 3~6m、두께5cm以上、A급이 11,500~14,000위안/㎥.
- Wenge는 여전히 잘 팔리고 있고 가격은 보합세임. 현재 광동시장의 Wenge 길이2~4m、두께5cm、무절재 가격이 11,000~12,000위안/㎥.


- Mahogany (桃花心)는 현재 광동시장에서 길이2~4m、두께5cm、A급 (수입목)가격은 5,800~6,300위안/㎥.
- Sapele(沙比利)도 부진하며 출하량이 대폭 감소하여 현재 광동시장에서 길이 2~4m、두께5cm、A급(중국내 가공)가격은 5,400~5,800위안/㎥.


구미 제재목
- Oak, Pine 등의 판매량이 많은 편이며 현재 광동시장의 Whit Oak 길이 7~16’ 두께 1-2"、A급 가격은 8,000~11,000위안/㎥ 폴란드 파인 길이 3.3~5.4m、두께 2.5-5cm、무선별 가격은 2,900위안/㎥ Douglas Fir 길이 3.65~4m、두께 4.7cm、무선별 가격은 2,800위안/㎥.
- White ash의 현재 광동시장 가격은 길이 2.2~2.6m、두께 5cm、A급 (몰딩재)이 5,400~5,600위안/㎥.


남미 제재목
- Red Cabreuva는 성수기대비 20~30%정도 감소되었고 가격은 보합세임. 현재 광동 시장 가격은 길이 2.8~3.2m、두께 10cm이상、 무절재가 5,300~6,300위안/㎥.
쪾 동북 제재목
- 러시아재 가격이 상승세여서 많은 상가에서 중국 동북재를 구매하고 있고 동북재 공급이 부족하여 가격이 소폭 인상 되였으며 인상폭이 200~300 원/㎥임.
- Walnut 가 타 수종에 비해 출하율이 높아 현재 광동시장에서 길이 2m、 두께 3.5~5.5cm、무선별 가격은 2,800위안/㎥.


합판
- 6월에 들어서서 판매량이 감소되고 있는 추세여서 단가 재인상은 어려움 - 현재 광주시장의 Lauan 합판 E1급 1220×2440×9mm 가격은 57위안/매 1,220×2,440×12mm 가격은 77위안/매임.
쪾 중국 합판 수요 정체 지속
- 중국합판의 재취득가격이 4월 중 살짝 하락하였다가 최근 다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음.
- 중국합판제조업체들이 유로화 절하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하여 소폭의 가격인하를 감행하여 21mm필름/필름포플러(poplar)합판의 가격은, 비록 평균적으로 US$360~380/㎥에 머무르긴 했지만, 가끔 US$360/㎥ CFR까지 떨어졌음.


- 유럽에서는 더 이상 수요가 거의 없는 MLH합판 및 포플러/빈탕골 그레이드 합판의 가격대는 약간 낮아졌음.
- 5월과 6월 중 운송비는 4월에 부과되었던 US$3,600~3,700/40ft컨테이너 수준으로 유지되었음. 최근 중국에서 컨테이너운송 보틀넥(bottleneck) 및 그에 따른 공급지연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에이전트들과 수입 업자들은 7월 중 운송비가 US$3,800~4,000 수준으로 다시 오를 것으로 예상됨.


집성재
- 원자재 공급부족으로 일부 fir 집성재 가격이 인상됨.
- 6월 들어 호황이었던 집성재 시장이 점차 냉각되기 시작 하였으나 가격 상승세는 멈추지 않고 있으며 6월초 인상된 후 최근 일부 Fir 집성재 가격이 거듭 인상하게 되였고 지금까지 15cm Fir집성재는 1월 대비 18위안/매 인상되었음.
- 현재 광동 Fir집성재 1,220x2,440x 150mm 가격은 112위안/매임.


MDF
- 광서 MDF공장에서 신규라인을 도입한 후 광주시장에 진입하여 광주 시장의 MDF 경쟁이 가속화 되어 많은 대형 MDF 공장에서는 가격을 0.5원/매~1원/매 약간 인하하였음.
- 현재 광주 gaolin E1급 샌딩 MDF 1220X2440X9mm 가격은 60위안/매 1,220X2,440X12mm 가격은 74위안/매임.


솔리드 복합마루
- 서안의 솔리드 복합마루 가격은 대부분 광주시장보다 2배로 비싸 광주 에서 100위안 정도 마루판이 서안에서는 200위안에 판매되고 있음.

장식단판
- 5월부터 장식단판 시장이 침체된 후 아직도 부진하며 동북 장식단판은 원재료 공급 부족으로 가격이 약간 인상 되였고 판매량이 가장 많음.
- 광동시장의 Basswood 두께0.6mm, AAA급 가격은 5.5위안/㎡이고 Ash 두께 0.6mm 가격은 8위안/㎡임.


인조판넬 가격폭등 원인
- 2010년 상반년 인조판넬 시장은 단가가 계속 인상되었고 제품공급 부족이 지속되었음. 인건비, 운임과 원재료 비용 상승이 인조판넬 단가 상승의 주요 원인임.
- 단가 폭등의 중요한 요인은 금년 들어 여러 원인으로 Fir 자원 공급이 엄청나게 부족하여 Fir 원재료 가격이 급등하였기 때문임.
- 첫번째 원인은 중국 경제의 지속적인 호전은 상반년 모든 산업 특히 부동산시장이 지속적으로 호황을 누려 인테리어시장과 가구시장의 호황을 초래해 Fir 수요량이 급격히 증가하였음.


- 두번째 원인은 올해 중국 서남부 지역이 심한 가뭄으로 인해 많은 목재가 훼손되고 속성림인 유칼리도 급격히 감소한 동시에 유칼리에 독성이 있다는 언론 속에 유칼리에 대한 애착이 식어버려 유칼리를 원재료로 사용하던 인조판넬 기업들이 Fir를 사용하게 되면서 Fir 원자재 공급이 더욱 부족 하게 되었음.
- 세번째 원인은 금년 Fir 채벌 쿼터가 작년대비 40%로 대폭 감소하여 공급량이 줄어 Fir가격이 빠르게 인상 되였음.
- 네번째 원인은 90년대 중국 인조판넬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인조 판넬 생산량이 급격히 상승하여 이미 1억㎥을 초과 하였고 Fir 원자재 수요량도 매일 늘어나고 있으나 Fir 조림목 생장속도가 인조판넬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 것임. 이와 같은 원인으로 금년 Fir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였음.


- Fir을 원료로 사용하는 블록보드와 집성재 가격 인상폭이 가장 크며 집성재 인상폭은 18%이고 블록보드 인상폭은 20%에 달함.
- 중국에서 블록보드에 사용되는 기타 속성림 수종으로 포플러가 있으며 포플러는 벌채 제한이 없고 가격 변화도 크지 않음.


- Fir사용 인조판넬 가격이 대폭 인상되는 가운데 포플러로 대체하지 않는 원인으로는 포플러는 북부 지역에서 성장하고 작년부터 운임이 대폭 인상돼 포플러 인조판넬이 광동시장에서 경쟁력이 없어졌고 금년에 Fir 블록보드가격이 많이 인상 되였다 해도 포플러 블록보드 보다 많이 저렴하기 때문임.
- 이런 상황 하에 어떻게 적극적으로 유칼리를 조림하게 할 것인지, 어떻게 인조판넬 발전 속도를 합리적으로 콘트롤 할 것인지, 어떻게 북부 지역의 포플러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것인지가 목하 Fir원자재 공급이 딸리는 문제 해결에 주력해야 할 목표임.

수출·입 동향
목재류 수입 증가세 유지
- 2010년 1월~4월까지 원목수입이 1,100만㎥으로 2009년 동기 대비하여 24%가 증가하였음.
- 러시아로부터 원목수입은 490만㎥으로 전년 동기대비 6%가 감소하였음.
뉴질랜드로부터 원목수입은 180만㎥으로 전년 동기대비 75%가 증가 하였음. 기타 다른 국가로부터의 수입도 증가하였음.


- 2010년 1월~4월 제재목 수입은 400만㎥으로 전년 동기대비 67%가 증가 하였음.
- 러시아가 39% 증가, 캐나다가 110% 증가, 태국이 102% 증가, 미국이 77%가 증가하였음.
- 중국 주요도시의 부동산 시장 활황으로 인하여 가구수요가 증가하였고 그 결과 목질 판넬류의 수입이 증가하였음. 합판, 파티클보드, 섬유판의 수입이 각각 37%, 17%, 6%가 전년 동기대비 증가하였음.


목제품 수출 폭증
- 2010년 1월~4월 가구수출이 U$ 27억 7,200만으로 전년 동기대비 37% 증가하였음.
- 미국 수출이 U$ 8억 7천만으로 전년 동기대비 20%가 증가하였음.
- 중국의 합판수출은 2010년 1월~4월까지 200만㎥으로 전년 동기대비 46%가 증가하였는데 미국 수출이 37만 6,500㎥으로 14%가 증가하였고 아랍에미리트가 62%, 영국 50%, 일본 69%, 한국 85%가 증가하였음.


- 산동성이 75만 3,900㎥을 수출하여 전년 동기대비 39%가 증가하였고
장수성이 71만 1,600㎥ 수출로 43% 증가, 절강성이 12만 8,400㎥ 수출로 28% 증가, 광동성이 10만 9,700㎥ 수출로 68% 증가, 상해가 5만 6,400㎥ 수출로 13% 증가하였음.
- 섬유판 수출은 47만 6,800 톤으로 전년대비 73%가 증가, 미국 수출이 10만 1,500 톤으로 전년대비 55% 증가.
- 파티클보드 수출은 2만 8,500 톤으로 전년대비 30%가 증가하였고 이 중 1/3이 러시아로 수출되었음.


제재목 수입 증가
- 2010년 1월~4월 수분하를 통하여 수입된 제재목이 25만㎥으로 96%가 증가하였음. 수입금액은 U$ 6,500만으로 전년 동기대비 148%가 증가 하였음.
- 수분하를 통하여 수입된 제재목은 중국 전체 수입량의 1/3을 차지함.

유통동향
원목 시장
- 동남아 원목시장은 Siam Rosewood공급이 부족하고 Burmapadauk 판매량은 급증, 아프리카목 시장은 침울, ambila교역량은 대폭 감소, 남미 merbau 교역량은 상승, Ipe는 평온, 동북 러시아재는 경영 압력이 증가되고 있음.


1) 동남아원목
- Siam Rosewood 공급이 부족한 상태임. 산지의 수출금지 정책의 영향을 입어 최근 Siam Rosewood 신규 공급이 거의 없는 상황 이며 특히 광동 시장의 재고가 매우 적음.
- Maidu는 여전히 각광을 받고 있으며 교역량도 약간 증가함.
- 말레시아 SHOREA(梢木) 수요가 줄고 있으며 시장 전체가 부진한 상황 하에 말레시아 Shorea 출하속도도 느려지고 교역량이 줄고 있으나 가격은 안정적임.


2) 아프리카원목
- 6~8월은 중국 목재 시장의 비수기로서 6월 이후 아프리카목재 시장 침체 상황은 점점 심해지고 있으나 가격은 평온함
- Ambila(非洲?花梨)교역량이 대폭 감소되었고 비수기 영향으로 Ambila 판매량도 감소되어 재고가 비교적 충족하여 가격 인하가 불가피함.
- Paorosa은 현재 수요량이 많고 특히 대경목 수요가 많음.
- Swartzia Madagascariensis 교역량이 감소되고 가격이 떨어져 공급이 충분하나 대부분 소경목이여서 가구공장들에서 구매하지 않고 있어 교역량이 줄고 가격도 4월부터 인하되었음.
- Wenge, Umbila는 아프리카재가 부진하고 있는 상황 하에도 교역량이 대폭 증가 하고 가격도 인상되었음.


3) 남미원목
- 남미 원목은 전체적으로 침체상태임.
- 남미 merbau가 침체 틈새를 타 시장의 인지도 상승으로 인해 판로를 뚫고 교역량이 증가하였음.
- Cocobollo는 가구공장에서 구매가 활발함.
- 남미 Swartizia가 교역량과 가격이 대폭 낮아져 심한 타격을 입고 있음. Swartizia 가격이 대폭 인하된 주원인으로는 가구공장들에서 구매량을 줄였고 또한 신규원목이 많이 수입되어 공급이 수요보다 많기 때문임.
- Ipe는 6개월 동안 부진하여 왔으며 하반기도 낙관적이지 못해 일부 재고를 많이 갖고 있는 업체는 경영상 어려움이 점점 커지고 있음.


4) 동북원목
- 6/19 러시아 정부에서 페인트, 부식제, 오일 및 기타 방부제 처리를 했거나 하지 않은 목재에 대해 수출 관세를 25% 징수하고 15유로/㎥보다 적어서는 안 된다고 발표하고 한 달 후부터 적용하기로 하였음.
- 현재 수분하, 만주리의 러시아재 가격은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음.


제재목 시장
- 미얀마재 판매는 평온, 아프리카재는 약간 부진, Oak는 여전히 각광 받고, White Aash는 호황, 동북재는 평온함.
1) 동남아 제재목
- 미얀마 제재목 판매량이 변화 없이 평온함. 미얀마는 지금 벌채금지 시기에 진입하였고, 산지에 적재되어 있는 재고는 가공과 운임 등 비용 상승으로 줄곧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으나 중국내 가격은 아직까지도 상향 조정이 되지 못하고 있음.


- Betula alnoides 판매량이 줄고 있음. 이와 비슷한 재질을 갖고 있는 Eugenia uniflora가 저가우세로 시장을 점유하고 있음. 비록 인지도가 높지 못하지만 향후 사용자가 많아짐에 따라 Betula alnoides (西南?) 판매량에 많은 어려움을 주게 될 것으로 전망됨.
- 태국 Rubbertree 수요가 대폭 증가하여 교역량도 큰 폭으로 증가하였음. 이미 주문한 화물이 도착하지 않아 공급이 많이 딸림.


2) 아프리카 제재목
- 최근 아프리카 제재목은 약간 부진한 상황임. 가구공장에서 생산량을 줄이고 또한 비수기로 아프리카 제재목 판매량이 급격히 감소되고 있으나 아직까진 엄중한 침체 상황은 아님.
- Bubinga(巴花) 판매량은 여전히 양호함.
- Wenge는 여전히 잘 팔리고 있고 가격은 보합세임.
- Mahogany(桃花心)와 Sapele(沙比利)가 부진하며 출하량이 대폭 감소하였음.


3) 구미 제재목
- 기타 지역 제재목 시장이 부진한 것에 반해 북미재는 상대적으로 좋은 편이며 금년에 북미 지역 경제가 회복세가 뚜렷해지고 북미지역의 소비자들이 자국산 목제품을 선호하므로 시장 수요가 많아졌고 지금 비수기철에도 북미재가 여전히 상당한 출하량을 유지하고 있는 원인임.


- Oak, Pine등의 판매량이 많은 편이며 White ash는 여전히 높은 인기를 끌고 있음. 3,4월에 비해 요즘 White ash판매량도 소폭 감소되었으나 인기도는 여전히 높음. 이는 주로 러시아 ash가격이 너무 높아 많은 업체들이 White ash를 구매하였기 때문임.


4) 남미 제재목
- 남미제재목 시장은 큰 변화가 없고 전체 시장 영향으로 일반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 Red Cabreuva 판매량이 성수기대비 20~30%정도 감소되었고 가격은 보합세임.


5) 동북 제재목
- 비수기 영향을 받아 동북재 판매량도 약간 하락 하였지만 러시아재 가격이 상승세여서 많은 업체에서 중국 동북재를 구매하고 있고 동북재 공급이 부족하여 가격은 약간 인상되었음. Walnut가 타 수종 대비 출하율이 높음.


인조판넬 시장
- 인조판넬 시장은 비수기철에 진입하면서 부진한 상황이며 가격은 인조 판넬 별로 상이한 상황임. 합판은 가격을 인상하려 하고 있고 일부 Fir 집성재는 가격이 재차 인상 되였고 MDF는 가격이 약간 인하 되였음.


1)합판
- 6월에 들어서서 인조판넬 판매액이 급속히 줄어들고 전체 시장이 침체 되어 있음. 2010년 인조판넬 시장이 작년대비 상황이 호전 되였지만 모든 비용이 끊임없이 인상되고 있고 특히 인건비 상승이 제일 큼. 비록 합판가격도 상승하였지만 경영원가 상승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임. 경영상들은 모두 가격인상을 희망하지만 현재 판매량이 감소 되고 있는 추세 하에 단가 재인상은 실현하기 힘들고 단가를 인상하지 않으면 또한 경영을 유지하기 힘든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음.


2) 집성재
- Fir 원자재 부족문제가 심각하여 도어용 20cm , 25cm 집성재는 시장에 재고가 전혀 없는 상황임.
- 현재 Fir집성재 가격이 인상추세이고 수요량이 감소하고 있지만 Fir자원 부족과 사람들이 환경보호 의식이 높아져 더 많은 사람들이 집성재 같은 친환경 판재를 선호하게 되여 비수기에도 일정량의 출하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가격 상승도 지속됨.


3) MDF
- 경쟁이 심화되고 가격이 약간 인하.
- 인조판넬시장이 비수기에 진입한 후 MDF 출하율이 제일 많이 감소되었음.


4) 콘크리트 판넬
- 서안 (西安) 시장의 콘크리트 판넬이 호황임.
- 서안의 4개성과 인접해 있는 특수한 지리조건으로 인근 하남성, 감숙성, 내몽골자치구, 산서성 등의 업체에서 모두 서안에서 콘크리트 판넬을 구매하고 있어 서안 콘크리트 판넬 시장을 발전시켰고 또한 중국 서부 대개발 프로젝트로 건설이 많아 콘트리트 수요가 많아졌음.
- 목재가격, 운임, 인건비 등 비용 상승으로 콘크리트 판넬도 인상하고 있으나 많은 저질품들이 시장에 흘러들어 서안 콘크리트 판넬 시장이 혼탁 되고 있음.


마루시장
- 2010년 중국 남부지역의 마루 시장은 부동산 영향을 받아 줄곧 부진한 상황임.
- 년 초 부동산의 호황은 투기군들의 투기로 마루판 시장에 큰 도움을 주지 못했고 4월에 부동산 억제정책이 발표된 후 부동산 시장이 급격히 냉각 되면서 마루판 시장도 바로 침체 상태에 빠지게 되였음.


- 중국 남부지역의 마루판 시장이 부진한 반면 중국 북부지역 서안 마루판 시장은 전혀 다른 상황임. 지금 서안은 부동산 건설이 한창이고 부동산 투기꾼들이 상대적으로 적고 自住(실수요) 구매자들이 많아 마루판 시장의 호황도 이끌고 있음. 광주와 서안은 지역 환경 차이로 마루판 시장도 상이한 모습을 보이고 있음.


1) 솔리드 복합마루
- 서안시장은 솔리드 복합마루가 주 품목인 반면 광주시장은 솔리드마루 혹은 강화 마루가 주 품목임. 솔리드 복합마루의 안정성과 쉽게 변형되지 않은 특징으로 북부지역 소비자들이 선호하고 있음.


2) 솔리드마루
- 서안에서 솔리드마루를 취급하는 업체가 적고 솔리드마루 품종도 매우 적음. 광동 솔리드마루 업체에서는 보통 최소 10여 가지 종류, 저급에서 고급 품목의 솔리드마루를 취급하고 있으나 서안 솔리드마루 업체에서는 대부분 보조적으로 솔리드를 취급하는 상황으로 솔리드만 전문 판매 하지 않고 있음.

국내 목재산업에 미치는 영향
- 중국부동산 억제정책으로 부동산 경기가 주춤하여 중국내 목제품의 수요 감소로 재고 증가 및 가격 하락으로 국내 수입 부문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예상됨.

 

말레이시아

수요 동향
원목
- 인도와 중국의 원목 수입이 감소.
- 말레이시아 메이커의 수십만 ㎥의 수주잔량 생산을 위한 원목구매.

제재목
- 필리핀의 새 대통령 임기가 시작이 되면서 역시 세수 증가를 위한 제재목 수입 SIZE를 대만과 말레이시아 본토처럼 지정하여 탈세를 막는 조치가 취해질 예정이어서 현재 생산된 제재목의 수출이 안 되고 있는 상황임.
- 제재목의 수요는 국제 경기의 회복이 되지 않아 주춤한 상황임.

합판
- 장기간 거래가 저조했던 유럽 구매자들의 인도네시아 및 말레이시아 합판에 대한 수요 회복.
- 상대적으로 높은 원가, 화물 운임율 인상 그리고 달러화에 대한 유로화의 평가절하로 인해 유럽바이어들은 소규모로만 거래했고 재고물량 판매.
- 장기적으로 동남아시아 합판에서 중국 합판 및 러시아 자작나무 합판으로 대체.
- 동남아시아 합판의 유럽시장 공급은 역시 감소하고 있는 수요를 감당 할 만큼은 충분.
- 수입업자들은 구매감소, 최근 배송지연 그리고 재고처리로 인해 가을에 최소한 일부 품목에서 부족예상.

생산동향
원목
- 사바주를 중심으로 기후가 회복되고 있으나 사라와크주는 단속적인 강우가 지속되고 있음.
- 악천후로 인한 운재지연으로 원목부족 상태는 계속되고 있음.
- 본격적인 출재는 8월이 지난 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임.
- 건기 임에도 불구하고 비가 5월부터 계속 내린 관계로 원목의 생산이 저조하여 수출과 국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
- 탄존마니항 부근은 바지선에 의한 운반재가 정체를 보이고 있어 적재 화물의 부족이 심각한 상황. 신흥국 을 중심으로 선박 정체도 여기저기 나타나기 시작함.


- 사라와크 주에서 선적량을 채우지 못한 바이어는 자바주를 대체지로 하고 있으며, 화이트 세라야와 믹스 세라야가 서서히 인상 추세에 있음.
쪾 제재목
- 남양재 제재품은 산지 통화 인상과 원목부족, 인건비의 상승을 배경으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음.
- 셀랑간바투 등의 강질목은 최대 소비국인 인도에 의해 주도되는 형태로 급등. 일본 수출용 화이트 세라야도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음.

 

가격동향
목제품 가격 안정세
- 말레이시아의 목제품 가격이 유럽목재 수입업자들이 계속되고 있는 유럽재정 위기의 영향에 대해 관망세를 유지하여 적극적인 구입을 유보하기 때문에 대부분 변동 없이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음.
- 유럽 바이어들은 그리스 외에 다른 국가들도 재정상태가 좋지 않을 것을 우려하고 있음.
- 유럽 재정위기의 지속과 미국의 높은 실업율로 인하여 수입업자들의 구매활동이 부진하나 중국 시장은 여전히 활발하여 목재수출 업자에게는 좋은 기회를 주고 있음. 

원목
- 사바. 사라와크주의 원목시장이 극단적인 원목부족으로 가격인상 추세임.
- 사라와크산 메란티 레귤러(예로우)는 U$210/㎥(FOB)에 메란티 스롤 (예로우)는 U$185/㎥에 오퍼 되고 있으나 U$190/㎥까지 올라가는 것은 시간문제임.
- 사바산 카폴은 U$270/㎥(FOB)에 거래되고 있음.
- 중국향 가격은 약세로 소강상태임.
- 케루잉은 U$240/㎥(FOB)에 거래되고 있음.

합판
- 말레이시아 합판 가격은 4월과 5월에 안정화된 이후 최근 몇 주간 거의 변동이 없었음.
- 특히 1분기 한때 US$930/㎥ C+F를 넘었던 4mm 필름코팅 합판 같은 일부 품목들은 심지어 약간 가격이 하락하였음. 이런 품목들의 평균 가격은 4월과 5월에 US$910~925/㎥ 선을 유지했음. 가격 편차는 계속 좁혀졌고 약간 하락하는 가운데 평균가가 US$905~915/㎥ 정도를 형성 하였음. US$900/㎥ 또는 그 이하의 가격도 등장함.
- 21mm 필름/필름합판 가격의 경우도 평균 US$600/m3 C+F 이하로 하락하였음. 평균 가격은 US$590~600/㎥ 정도임. 벌크(bulk) 수송품의 경우 그 가격은 더욱 하락함.

 

수출·입 동향국가별 수출동향- 전체적인 수출 물량은 지난달과 비교하여 많은 감소가 있었음.1) 중동: 두바이 지역의 구매가 5월에 많이 이루어 졌고, 6월에는 생산량이 많지 않아 6월 선적이 이루어 지지 않았음. 현재 7월부터는 USD10~15/㎥이 오른 가격에 계약이 되고 있음. 2) 태국 : 계속적으로 활발하게 수입을 하고 있는 국가로 경제 회복의 속도가 있어 당분간 수입이 증가될 것으로 보임. 태국은 반대로 건기가 계속되고 있는 것도 수입 요인임. 3) 대만 : 정부가 제시한 수입 INVOICE SIZE를 수입업자들이 따르는 대신 선박 운임을 종전보다 내려서 선적을 하게 됨에 따라 수입은 다시 원활하게 되었으며, 수입 물량은 종전보다 늘어날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중국과의 경제 협력이 늘어나게 되었기 때문임. 가격은 수입의 다변화로 이하여 종전과 비슷하게 될 것으로 예상됨. 4) 한국 : 한국은 수입 가격이나 물량 면에서도 일본과 더불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 파레트재와 철강 받침목도 가격적으로 타국과 비교하여 가격이 낮다고 하여 이곳에서 더 이상 생산을 하려고 하지 않는 상황임. 한국에서도 수요가 적어 굳이 구매를 서두르지 않고 있으며 인삼 지주목 시즌이 다가오는 관계로 수입 요청은 많으나, 제재소에서의 생산량은 줄고 있음. 가격은 종전보다 USD 10/㎥ 오른 가격으로 6월에 선적을 하였으며, 7월까지는 변동이 없을 것으로 예상함. 선박 동향 - 벌크선 용선이 6월 하순부터 다시 좋아지고 있음. - 인도와 중국에서의 원자재 수입이 5월보다는 적어진 것으로 보이며, 이에따라 7월부터는 약간의 운임 하락세가 있을 수도 있음.- 한국은 특히 합판의 수입이 계속 감소할 것으로 보임. 말레이시아 목제품 수출 530억 링깃 목표- 말레이시아 목재산업위원회(MTIB)는 2020년까지 목제품 수출목표를 530억 링깃으로 설정하였음.- 이 목표는 현재의 추세라면 달성 가능할 것으로 보임.- 말레이시아 목재산업은 2년간의 침체에서부터 회복되고 있음. - 2010년 1월부터 4월까지의 목제품 수출액은 69억 링깃으로 전년 동기대비 22%가 증가하였음. MTC 요르단 수출 관심- 말레이시아의 요르단에 대한 목제품 수출이 금년에 10% 증가 할 것으로 보임.- 말레이시아 목재위원회(MTC)는 최근 말레이시아 13개 목재업체가 참여한 요르단 무역사절단을 구성하였음.- 말레이시아와 요르단의 무역거래액은 2009년에 U$ 1억 8,800만에 달했음.- 요르단은 말레이시아로부터 목제품 수입이 1998년에는 $300만에 불과 했는데 꾸준히 증가하여 2007년에 U$3,200만, 2008년에 U$4,100만, 그리고 2009년에 U$4,800만을 수입하였음.- 말레이시아의 중동 지역에 대한 목제품 수출은 2009년에 U$ 5억 800만에 달했는데 이 중 요르단이 아랍에미리트, 예멘,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에 이어 5번째 수입국이었음. 유통 동향합판- 말레이시아 합판 수출은 많은 합판공장이 직면하고 있는 원목공급문제와 최근 컨테이너 용적 부족에 의한 병목현상으로 인해 수 주간 지연되어 왔음. - 지난 4월이나 5월경에 이미 말레이시아를 출발했어야 할 합판이 6월에 선적되었음. - 현재 주문량은 7월 말이나 8월에 선적될 것이고 유럽에는 아무리 빨라도 9월까지는 도착하지 못할 것으로 보임. 동시에 말레이시아에서 유럽 까지의 컨테이너선 화물 운임율이 6월에 다시 상승하였음. 임산물 ( SAWDUST CHARCOLE) 동향 - 한국은 현재 수입가격보다 싼 가격으로 국내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어, 새로 수입하는 물량이 절반 이하로 떨어진 상황이며, 이는 중국에서의 참나무 숯이 싸게 수입되고 있기 때문임. 한국 다음으로 소비가 많은 유럽 남부지역도 그리스 재정위기 여파로 수입이 많지 않아 말레이시아 숯 공장은 당분간 고전 할 것으로 예상됨. 국내 목재산업에 미치는 영향- 말레이시아의 만성적인 원목부족상황은 지속되어 가격상승 및 납기 지연은 불가피하게 보임. 국내 건설경기 침체로 수입이 감소하여 타 국가에 비하여 가격이나 납기에 대한 수입경쟁력이 약해져 수급이 불안정해 질 수가 있음. 인도네시아 수요 동향- 인도네시아에서 컨테이너선의 수송능력 부족으로 6월에 화물 운임율이 상승하였으나 대량화물 운임율은 5월에 비해 매우 완만하게 유지되고 있어서 유럽 구매자들은 인도네시아에서 대량화물 운임을 이용하기 위해 구매량을 조금 더 늘리고 있음. -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의 컨테이너선 화물 운임율이 7월에 다시 상승 할 것임이 확실시 되는 가운데 구매량 증가는 7월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임. - 미국의 가구수입의 증가 유지. - 중동과 유럽지역의 계절적 수요. - 일본의 남양재합판 주문지속. 생산동향- 악천후로 인한 벌목작업의 어려움으로 원목부족상태로 공장 가동율이 20~30% 하락함.- 인도네시아는 미국 가구수입의 증가 및 일본, 유럽 등의 합판수입 증가로 제조업 경기가 호황이나 생산원가가 증가하여 가격경쟁력이 떨어지고 있음. 가격 동향- 인도네시아산 목제품이 원목부족으로 인한 생산 감소와 경기회복 기대에 따른 수요증가로 가격형성이 공급자 주도로 이루어져 가격상승 추세가 강화되고 있음. 원목
합판
- 인도네시아 및 말레이시아 합판 가격은 4월과 5월에 안정화된 이후 최근 몇 주간 거의 변동이 없었음. 특히 1분기 한때 US$930/㎥ (CNF,발틱항)를 넘었던 4mm 필름코팅 합판 같은 일부 품목들은 심지어 약간 가격이 하락하였음. 이런 품목들의 평균가격은 4월과 5월에 US$910~925/㎥ 선을 유지하며 가격편차는 계속 좁혀졌고 약간 하락하는 가운데 평균가가 US$905~915/㎥ 정도를 형성하였음.


- 인도네시아의 미가공합판가격의 장기적 상승은 4월에도 지속되었으나, 그 후 서서히 멈추었음. 따라서 BB/CC WBP 4x8ft 합판의 평균 가격은 Indo’96+25-28%이며, 일부 컨테이너 운송품의 경우 Indo’96+29%에 거래되고 있음. 5월에는 대형 5x10ft합판은 평균 Indo’96+45-46%에 거래되고 있음.


제재목
수출·입 동향
미국 수출입은행 무역금융 확대
- 미국 수출입은행은 미국의 인도네시아 수출확대를 목적으로 인도네시아에 있는 11개 은행에 무역시설투자금융을 10억 달러 확대하기로 하였음.
- 시설투자는 개인분야나 공공분야 모두 가능하며 공공분야 구매를 촉진 시키는데 목적이 있음.


이집트 수공예품 시장 증가
- 이집트는 인도네시아 산 목공예품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있어 이에 따른 주문이 확대되고 있음.
- 인도네시아는 아프리카와 유럽시장에 목공예품 수출의 관문으로 이집트를 집중 공략하고 있음.
- 이집트와 인도네시아는 목공예품에 대한 관리에서부터 생산까지 포함된 MOU를 체결하였음. 인도네시아는 목공예품에 대한 교육 및 기술지원을 제공하기로 하였음.

 

임업정책 동향
천연림과 이탄지대 개발금지
- 인도네시아는 2011년부터 2년간 천연림 및 이탄지대의 개발을 허가하지 않기로 하였음.
- 2011년 이전에 허가된 농업, 조림 및 광산사업에는 영향을 받지 않음.
- 개발금지 선언은 산업용 목재생산을 위한 토지, 산림개발계획에는 제외됨.
- 2011년부터는 농업, 조림, 광산분야에 있어서 단지 황폐화된 산림이나 유휴지에 사업을 확대하기 위한 개발은 허용 될 것임.
- 인도네시아 국토부는 유휴지 1,200만 헥타아르와 황폐화된 산림 4,000만 헥타아르를 분리해 놓았음.
- 2년간 개발금지로 Riau, Jambi, Papua를 포함한 인도네시아 전 지역이 영향을 받게 되었음.

 

국내 목재산업에 미치는 영향
- 인도네시아의 제재목, 합판 등의 가격경쟁력 약화로 국내 수입물량도 갈수록 감소하고 있는 실정임.
- 우드펠릿 등의 신재생에너지 부문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태국

수요 동향
- 베트남의 가구수출경쟁력이 향상되어 가구용 수요증가.
- 아랍에미리트,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등의 중동지역 건축경기가 지속적으로 활황을 유지하고 있음.

생산 동향
- 전월과 특이 사항 없음

가격 동향
쪾 파티클보드
-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계속 단가는 인상되는 추세임.
- 7월 선적이 E2급이 U$165/㎥(CNF Inchon), E1급이 U$175/㎥ (CNFInchon) 으로 지속적으로 가격이 상승하고 있음.
- 현재 신규 발주는 주춤한 상태임.

 

수출·입 동향
2010년 1월~5월 MDF 수출
- 2010년 1월-5월까지의 MDF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금액으로 59%의 증가를 보였고 ,수량적으로 62%가 증가하였음.
- 아랍에미리트는 196%증가, 베트남은 188%, 사우디는 72%, 한국은 무려 939%가 증가하였음.

2010년 1월~5월 PB 수출 - 2010년 1월-5월까지의 파티클보드의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금액으로 20%, 수량으로 15%가 증가하였음. - 최대 수출대상국인 한국은 11%증가하였고 말레이시아가 67%, 인도가 78%, 인도네시아가 119%가 증가하였음.- 중국은 전년 동기 대비 오히려 33%가 감소하였고, 베트남은 5%가 감소하였음.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 2010년 1월-5월까지 국내에 수입된 PB는 34만6천㎥으로 전년 동기대비 24%가 증가하였음. 태국산은 전년 동기대비 16%가 증가한 24만4천㎥ 으로 점유율은 71%로 1위를 차지하였으나 전년대비 점유율이 4%가 하락하였음.


   
호주

수요 동향
신규 주택착공 감소
- 호주의 2010년 1분기 신규 주택착공수가 39,112호로 전 분기대비 7.7% 감소하였음.
- 개인주택 분야가 25,188호로 전 분기대비 16.1% 감소하였음.
- 기타 주거분야가 9,558호로 6.4%가 감소하였음.
- 공동 주택은 4.222호로 117.1%가 증가하였음.


2010년 4월 개인주택 건축허가 건수 감소
- 2010넌 4월 주택건축 허가 건수가 14개월 연속 증가세에서 감소로 돌아 섰음.
- 타 주거 시설은 3.4%가 증가했으나 전체 허가건수는 1.9%가 감소하였음.
- 계절조정계수로 총 허가건수는 14,144건으로 지난달에 비해 14.8%가 감소하였음.
- 개인주택 부문은 2.0%가 감소하여 4개월 연속 감소하였음.
- 계절조정계수로 개인주택 부문은 8,404건으로 지난달에 비해 13.5%가 감소하였음.

 

생산 동향
2008~2009년 호주 산림통계
- 목재 플랜테이션은 2009년에 확대되었지만 감소율이 증가하고 있음.
- 구조용 목재에 대한 호주 국내수요의 지표인 주택경기가 현재는 상승하고 있지만 2009년에 하락하였음.
- 2008~2009년의 총 원목벌채 수량은 10.7%가 감소하였는데 침엽수 조림 목과 천연림은 13%가 감소하였고 활엽수 조림은 증가하였음.
- 제재목과 목재 판넬류의 생산과 소비는 2008~2009년에 감소하였음.
- 활엽수 조림목의 수출은 증가하였는데 천연림의 우드칩 수출물량은 감소 하였음.

가격 동향
- 2010년 상반기 일본과의 침엽수 칩 가격 협상은 지난 4월에 U$ 151/BDU (FOB 포틀랜드)에 체결되었는데 2009년 하반기 가격보다 U$ 19이 인상 된 것임.
- 유칼립투스 칩 가격은 기준가격이 A$ 207.40/ODMT 이며 일본과의 가격협상에서 전년보다 35%가 인상된 가격으로 U$결제 조건으로 체결 되었음.
- 일본 펄프제지협회에 따르면 호주의 유칼립투스 칩 가격이 현재 가장 적정한 활엽수 칩 수입가격이라고 함.

수출·입 동향
- 2010년 4월 호주의 목제품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29%가 증가한 A$ 1억5백만을 수출하였으며, 2010년 1월-4월 기간 동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가 증가한 A$ 3억6천2백만을 기록하였음.

유칼립투스와 파인 칩 수출
- 호주의 우드 칩 수출이 반등하였음.
- 10년 내 최저의 수출을 기록한 2009년에 비해 2010년은 파인 칩이 38% 증가하였고 유칼립투스 칩은 12%가 증가하였음.
- 우드 펠릿은 2010년에 10만 톤이 유럽으로 수출되었음.
- 2009년도에는 우드칩 수출량이 전년대비 32%가 감소하였음. 침엽수 칩이 2008년 대비 26%가 감소한 79만 톤이 수출되었고 활엽수 칩이 2008년 대비 41%가 감소한 400만 톤이 수출되었음.


- 2010년에는 지금까지 수출된 물량을 보았을 때 지난 5년간의 평균 수준까지는 증가할 것으로 보임.
- 2010년 1월부터 4월까지 침엽수 칩 수출은 2009년 대비 38%가 증가하였는데 일본과 중국으로 수출되었음.
- 유칼립투스 칩은 2009년 대비 12%가 증가하였는데 일본과 대만이 증가하였고 중국은 대체로 감소하였음.
- 2009년도에 중국으로 수출된 물량은 67만 톤으로 2008년 대비 300%가 증가하였는데 2010년에는 2만 3천 톤으로 2009년 대비 86%가 감소하였음.


- 호주의 신규 개발 품목은 우드펠릿으로 신속히 확대되고 있는 유럽의 바이오매스 에너지 시장에 호주의 한 업체가 첫 수출을 하였음.
- 2009년 말에 네덜란드의 에너지 회사에 처음으로 선적을 하였는데 금년에 2만 톤이 선적되었음.


- 3년간 30만 톤의 우드펠릿을 공급하는 계약임.
- 호주는 지속적으로 우드펠릿 생산능력을 확대 할 계획이며 유럽으로의 수출은 높은 운송비로 인하여 장기적인 저가의 원재료 공급처를 확보해 야 됨.

 

임업정책 동향
산림분야 투자 감소
- 2010년 호주의 산림분야 투자가 AU$ 1억 미만으로 감소될 전망임.
- MIS 판매가 2006년에서 2008년 사이에는 AU$ 10억에서 AU$ 12억 5천 만으로 증가하였음.
- 호주 파이낸셜리뷰에 의하면 2008년에는 MIS에 대한 관심이 최고조에 달했었는데 45개 이상의 프로젝트와 30명의 매니저를 보유했었는데 금 년에는 11개의 프로젝트와 9명의 매니저를 보유하고 있음.

국내 목재산업에 미치는 영향
- 국내에 수입되는 호주의 목제품 중 원목이 비중이 큰 품목인데 국내 총 수입원목량에서 8%정도를 점유하고 있어 큰 영향을 끼치지는 않지만 꾸준하게 일정량(월평균3만㎥) 수입되므로 수급에 도움을 주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