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국제 목재산업 동향-2
3월 국제 목재산업 동향-2
  • 나무신문
  • 승인 2010.05.2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료=산림청 목재생산과

뉴질랜드

수요 동향
해외
- 뉴질랜드 원목에 대한 중국의 수요가 계속 증가.
- 중국시장의 강세는 지속되고 계절적으로 기후가 따뜻해짐으로 일반적인 수요 감소는 금년에는 없을 것으로 보임.
- 일본과 한국, 인도도 수요가 꾸준함.
- 인도에서는 제조업 지수가 1년 반 기간 중 최고를 기록하였음.
- 한국도 2010년 1월의 건설수주액이 전년 동기대비 17.1% 증가.

내수
- 뉴질랜드도 160,000호의 주택착공이 예상.

생산(벌채) 동향
- 뉴질랜드의 원목 공급은 제한적임.
- 2010년 뉴질랜드의 최대 원목생산량은 2,200만㎥으로 추산되며, 이중 1,000만㎥ 정도가 수출될 것으로 전망됨.
- 2008년, 2009년 뉴질랜드 제재목 생산은 큰 차이가 없음.
- 원목수출은 2009년 하반기에 증가하였으며 2010년 초부터 수요 폭증은 아무도 예견하지 못했음.

가격 동향
- 중국시장이 지금 시장가격을 움직이고 있으며 다른 시장은 공급을 안정시키기 위해 중국의 가격상승률에 따라 갈 수밖에 없는 상황임.
- 중국, 한국의 견고한 매수세에 힘입어 강보합세가 이어지고 있음.
- 일본에 수출되는 A소트는 95달러(FOB, ㎥, 8m 평균)에 이르러 C&F가격으로 140~145달러(㎥) 수준임.

- 중국과 한국에 수출되는 원목의 KS등급과 KI등급의 시장가격은 각각 U$6/JAS㎥ 과 U$9/JAS㎥ 이 인상되어 11개월 연속 상승하고 있음.
- KS 등급은 U$133/JAS㎥, KI 등급은 U$127/JAS㎥에 가격이 형성됨.
- Log Price Index는 NZ$3/T 가 올라 NZ$85/T이다 이는 1996년 이래 최고치이며 2009년 3월에 비해 20%가 증가한 것임.


- 2010년 4월에는 추가 상승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 운임요율도 확고하여 중국과 한국향 운임요율은 U$5/JAS㎥이 올라 U$50/JAS㎥에 육박하고 있음.
- 원목가격 변화
국내: Pruned/Unpruned - 안정
수출: Grade별도 $5~$20/T - 상승
Pulp log는 거의 안정

수출·입 동향- 2009년도에 중국은 뉴질랜드 원목 수출량의 50%를 수입하였고 제재목수출량의 25%를 수입하였음. - 금년도 중국으로의 원목 수출량은 500만㎥으로 예상됨. - 뉴질랜드 제재목, 건조목의 중국 수출량도 최대량이 될 것이고 높은 가격으로 수출 될 것임. - 한국도 2010년에 250만㎥를 수입할 것으로 예상됨. - 인도는 2010년에 100만㎥를 수입할 것으로 예상됨.
유통 동향
- 수출과 내수의 분배가 어느 정도 이루어질지는 불확실 하지만 산림 소유자들은 국내 가공업자 및 제조업자가 경쟁력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순리적으로 해결 될 것으로 전망됨.
- 목재가격은 시장에서 대체품이 나올 때까지의 수준까지는 상승하지 않을 것임.
- 뉴질랜드 내수용 원목은 2분기에 급격한 가격상승이 예상되며 제한된 원목공급 상황에서 수출시장의 호황으로 내수용 원목 가격의 인상으로 이루어질 것임.
- 수출원목의 수요가 국내와 해외 제재목시장에서의 제재목 수요와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임.
- 뉴질랜드 국내 목재가격은 제재업자가 원목가격 인상분을 제재목에 반영하자마자 바로 인상되고 있음.
- 2차 가공업자들은 가격인상의 통보도 없이 인상된 가격의 제재목을 받고 있는 상황임.

임업정책 동향
수요폭증으로 인한 공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운송ㆍ보관관련 인프라가 보완이 되어야 하는데 이런 시설은 단시간에 해결될 수 있는 사항은 아니나, 운송 부문에서의 애로를 타개시키기 위해 중량물 운송차량의 개조를 완화 하는 제도를 시행하기로 하였음.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 뉴질랜드원목가격의 상승으로 제품가격에 반영을 하지 못하는 국내 현재 실정상 원가부담은 한층 더 높아 졌음.
- 미국산 원목과 러시아산 원목의 수요가 늘고 있음.
- 부산물가격의 인상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며 일부 업체에서는 화목(피죽) 가격 인상을 고려하고 있음.


호주

수요 동향
내수시장
- 구조용 목재 및 판넬 소비 : 각 17%, 11% 감소.
주택건설
- 주택허가 증가 예상 - 금리인하, 최초 구입자 혜택제도.
- 호주의 주택착공 동수가 연간 16만호 정도 증가를 예상.


해외시장
- 목재수요가 세계적으로 증가 - 건축경기 회복.
- 목제품 수출이 23억 달러로 전년대비 5.2% 감소.
- 주요 감소 요인은 우드칩 가격하락.
- 중국으로의 우드칩 수출이 증가 전년대비 74%.
- 중국이 주요 수출국이 될 것임.

생산(벌채) 동향
2009 목질 판넬
- 생산은 전년대비 7.7% 감소한 170만㎥ 기록.
- 합판생산은 12%감소, MDF는 11%감소, PB는 4.8%가 감소.
베니어 생산
- Tasmania에 소재한 Ta Ann의 2개 공장이 신설되어 생산이 증가되어 116,000㎥을 생산하였음. Ta Ann공장에서 생산된 베니어는 말레이시아로 수출.
원목
- 활엽수나 침엽수 유사하게 생산되는데 활엽수가 연간 1,355만㎥, 침엽수가 1,491만㎥으로 총 2,846만㎥이 생산됨.
- 총 생산량 중 50-60%가 제재 및 베니어생산용이고 목질 판넬용이 5-6%, 나머지는 대부분이 펄프제지용으로 사용됨.

가격 동향
- 중국의 목제품 수요 증가와 칠레대지진으로 인한 대체공급처로 부각되면서 전반적인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는 추세임.
- Radiata Pine 원목 경우 뉴질랜드와 유사한 U$140~145/㎥에서 움직임.

수출·입 동향
2009 원목·제재목 수출입 현황

2009 판넬 수·출입 현황

유통 동향
- 호주는 국내산업 발전 우선정책을 수행하여 고용창출 및 유지를 하고 있으며 자유경제체제이지만 내수에 부족현상이 나지 않도록 수출량이 조절되고 있음.

임업정책 동향
Carbon Pollution Reduction Scheme (CPRS)
- 2009년 12월 수정된 법에 의하면 1990년부터 2008년 12월 31일 사이에 법적으로 완전히 벌채되어진 토지에 재 조림하는 것도 적용을 받을 수가 있게 되었음.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호주로부터 수입되는 주요 목재류 품목은 원목, 제재목, 우드칩인데 이 가운데서 우드칩이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작년도 일본의 펄프생산 감소와 중국의 수입 감소로 호주의 우드칩 수출이 대폭 감소하였음. 칠레 대지진으로 인한 목재 공급의 대체공급처로 호주도 그 역할을 담당하는데 벌써 중국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으며 호주 내수 경기도 호전되고 있어 호주 내수용 목재도 증가하고 있어 국내수입 원목가격의 인상은 불가피함.


일본

수요 동향
2010년 주택착공
- 1월 주택착공 동수가 계절조정계수로 46만 6천호, 목조주택비율은 53%임
- 2월 주택착공동수가 계절 조정계수로 79만 4천호, 15개월 연속 감소함
- 2009년 2월에 비해서는 9.3% 감소,  2010년 1월에 비해서는 8% 감소함
- 실질 주택착공 동수는 1월에 비해 26% 증가함
- 대형 빌딩의 허가가 증가하기 시작하였음
- 목조건축이 2달 연속 증가하였고 2010년 1월보다 목조주택 비율이 3.5%  증가한 57%를 차지하였음
- 임대주택 건설의 회복이 더디나 자가 주택은 4개월 연속 증가함
- 도쿄지역 주변 판매용 주택 건설이 2개월 연속 증가함

일본재원목- 제재용 원목 - 제재품시장 저조로 전년대비 90%수준임 - 합판용 원목 - 국산재이용 운동으로 증가함 북미재 원목 - 비교적 견조함 구조용 집성재- 국내 제조 - 3월 집성재 가격상승으로 수요증가 프리카트 공장 가동률 상승- 수주 전월대비 105% 증가 생산 동향2009년 일본 제재수급현황

구조용집성재
- 주택메이커 소재변경으로 일본산 수요 증가
- 라미나 재고부족으로 충분한 재고확보 때까지 현재의 생산량을 유지
일본산 침엽수 합판
- 작년 11월 시세가 크게 붕괴된 이후 채산성이 심하게 악화된 12㎜두께 제품을 중심으로 감산이 진행되어 1월 생산량은 17만㎥선이 무너졌으며, 2월에도 비슷한 정도로 보임. 1월 재고량은 07년 5월 이후의 최저수준으로, 제조사의 가격 인상으로 서서히 시중 시세도 인상되기 시작하였음.

가격 동향
원목
- 홋카이도산 낙엽송은 가격 인상 자세가 강해 제조사 측과 줄다리기 형국임. 토호쿠지방에서는 집성재 라미나용과 경쟁하고 있어 가격을 제출하지 않으면 수량을 확보하기 어려워지고 있음.
- 삼나무는 동일본에서 바닥보합세가 이어지고 있어 생산의욕이 감퇴하고 있으며, 재고조정 후의 수량 확보가 어려워지게 될 우려가 있음.  직경18㎝이상의 중간 가격이 8,000~8,500엔(토호쿠, 공장 도착, ㎥, 포함) 14~16㎝는 계속해서 6,000엔이 무너졌음.
- 러시아산 극동 낙엽송 원목은 출재양이 줄어 가격은 높게 책정되어 있음.
- 2월의 단판 제조용 소재의 입하량은 전월 대비 103%, 전년 대비 117.9%인 27만 6,000㎥. 일본재 입하량도 전월 대비 123%인 19만 1,000㎥로 증가하였으며, 소비량은 전월 대비 98%, 재고량은 95%로 감소하고 있음.
- 남양재 원목가격은 사라와크산 메란티 레귤러가 전월대비 200엔이 올라 6,400엔, 스몰이 5,400엔, 사바산 카폴은 레귤러가 8,900엔에 거래됨.

구조재
- 2월 중순부터 임대주택업자 수요 증가.
- 2/4분기 “J”grade SPF 2×4×8 U$450~460/MBF(CNF. 메인항)로 U$50 인상.
- 생산 감소로 일본용 “J” grade 수량 부족.
- 분기별 SPF 2×4~8제재의 일본 수출용 수출가격 추이.

구조용 집성재- 유로화 산지가격, 큰 폭의 인상가격 제시.수입W우드 집성관주의 4, 5월 선적가격은 382~384유로(C&F, ㎥) 종전 가격인 340유로보다 40유로 이상 대폭 인상된 가격으로, 엔화로는 1개 1,700엔을 가뿐히 초과하는 가격임. - 일본산 W우드 집성관주는 1개 1,750엔(프리커트공장 도착, 차량 단위). 동서간 지역차도 발생하고 있어 수입제품비율이 낮은 서일본에서는 1개 1,800엔(동)대의 가격도 보이기 시작하였음. 또한 스포트에서의 판매에서는 1개 1,850엔이라는 가격도 보임. - 수입R우드 집성평각의 2분기 가격 제시는 400유로(C&F) 전후, 엔화로는 5만 5,000엔 전후(프리커트공장 도착). 종전 계약가격보다 유로화 가격으로 40유로 전후의 대폭 인상된 가격임. - 일본산 R우드 집성평각도 3월 초 이후 서서히 인상되어 5만 4,000~5,000엔(동)으로 전월 대비 1,000엔 정도 인상되었음. 핀란드의 파업소식도 전해지고 있어 앞으로 더욱 공급이 어려워질 것임. 합판- 거푸집용 3×6은 4만~4만1,000엔(C&F, ㎥)제시로, 종전보다 2,000엔 상승.- 도장 거푸집용 3×6은 4만 5,000엔~6,000엔(동)으로 종전보다 2,000엔 상승.- 침엽수 구조용 합판 12㎜두께 3×6판 650엔/장(관동 1차 도매상 도착, 10톤 차량 제조사 직송)에서 700엔(동)으로 인상.- 침엽수 구조용 합판 24㎜두께는 1,300엔(동)에서 100엔 인상된 1,400엔(동)으로, 28㎜두께는 1,520엔(동)에서 110엔 인상된 1,630엔(동)으로 인상. 장척 합판은 9㎜ 3×8판이 900엔(동), 9㎜ 3×9판이 1,000엔(동), 9㎜ 3×10판이 1,100엔(동)으로, 4월 1일 수주 분부터 각각 50엔 인상. 수출·입 동향2009년 목재수입실적

2010년 1월 수입실적

합판 공급- 2010년 2월 합판 공급량 증가.- 전년대비 29.6%증가, 전월대비 2.2% 증가한 44만 800㎥임.- 수입 합판은 40.6%증가, 일본산 침엽수합판은 21.7%, 일본산 보통합판은 18.8%증가하였음.
- 금년 신설주택 착공을 80만호로 전망하여 23만~24만㎥/월 수요예상.
- 출하량은 작년 12월에 20만㎥ 정도, 금년 1월도 지난달과 비슷하며 2월에 전월대비 85.1%로 감소하였음.
- 중국산 합판 증가는 포장용으로 저가의 포플러 합판임.

유통 동향 
구조재
- 작년 말부터 2×4 주택수주 감소 기미로 재고소진 때까지 수입계약을 미룸.
- SPF KD 각재 및 소할재 재고가 작년 동기대비 감소하여 부족 심각.
- 캐나다산 SPF 2×4 스터드(J그레이드)의 구입의 어려움과 산지가격 인상으로 유럽산 W우드에 의한 대체 거래가 대두되고 있음.
- 현재 캐나다산 SPF제재와 유럽산 W우드제재는 경쟁관계에 있으며, 특히 홈센터나 DIY점포에서는 쌍방이 인내하며 점유율 획득에 노력해왔음.
- 가격 탄력성이나 사이즈 대응력 등이 평가를 받아 최근에는 W우드가 홈센터 각 점포의 대표상품이 되고 있음.
- 최근에 W우드, SPF 모두 산지가격이 급등하기 시작해 W우드 수입업자는 SPF에서, SPF 수입업자는 W우드에서 전력을 다해 활로를 모색하고 있음.

합판
- 도장 거푸집용은 물량부족이 이어져 보유 재고의 유무로 매입 자세에 차이가 있으나 , 소판은 가격인상 피로로 인한 숨고르기 양상.
- 실수요 전망이 보이지 않는 가운데, 상사나 도매상에는 어려운 매입판단이 요구되고 있음.
- 매수측에서는 유통 하류에 가까울수록 가격 인상이 침투할지 판단하기 어려우나, 대형 주택업자 측에서 물동량이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고 제조사가 제시 가격 이하로 판매할 수 없다는 분위기이므로 불합리한 가격의 개정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음.

임업정책 동향
 임야청 : 임업 노동력 확보 촉진관련 법률 변경.
- 교육훈련의 충실과 임업근로자 캐리어 형성 지원.
- 저 비용 작업 시스템에 대응한 인재육성
- 건설업과 임업과 연대 촉진.

국토교통성 : “목조주택건설을 통한 임업재생을 생각하는 위원회” 설치.
- 국토교통성은 목조주택건설을 통한 삼림, 임업의 재생, 저탄소사회의 실현 등을 목표로 임업, 목재생산관계자와 주택생산자까지 망라한 연계활동 필요성에 따라 새로운 위원회를 설치.
- 국토교통성 주택생산과가 사무국이 되어 임업재생을 위한 위원회를 설치하여 각 기관과 연계해 검토해나간다는 점에서 향후 검토상황이 주목 받고 있음.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일본 목재시장의 동향은 목재 자급률이 현재는 24%수준이지만 향후 50%를 계획하고 있기 때문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나, 1~2월 합판 수급에서 중국산 포플러 합판의 수입물량의 증가는 국내포장용으로 사용되는 중산 합판의 수급 및 가격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판단됨.


중국

수요 동향
목재수요량
- 중국 임업협회는 2010년 중국 목재수요는 2억 4,500만㎥ 예상되어 9,500만㎥을 수입해야 되며, 2015년까지 목재 수요량은 3억 5,000만㎥으로 중국내 공급 가능량은 2억만㎥이며, 1억 5,000만㎥을 수입해야 된다고 발표.
- 중국에서는 목재사용의 65%가 국내 주택의 데코레이션과 가구생산에 사용되며 주택 공급량이 가속됨에 따라 목재 소비가 증가하고 있음.

뉴질랜드 원목
- 중국은 세계금융위기가 발발하자 2008년 말부터 7,300억 달러의 경기부양책을 시행한 결과 중국의 국내 총생산 및 수출이 다시 성장률을 증가시키고 있음.
- 세계 경기의 완만한 호전과 경기 부양책으로 중국내 목재수요증가로 부족한 목재를 수입해야만 되었음.
- 수입량의 대부분이 러시아로부터 들어왔으나 러시아의 원목수출세 인상으로 인하여 러시아로부터의 수입량이 감소하여 북방 국경지역에 있던 제재소들이 동부해안지역으로 이전하였고 중국 제조업체들은 뉴질랜드소나무를 사용하여 베니어, 합판, 부가가치 목제품 등을 제조 하는데 성공하였음.
- 중국의 이러한 원료조달 패턴의 구조 조정이 뉴질랜드 목제품의 수요를 증가 시켰음.

생산(벌채) 동향
- 2010년 흑룡강 대흥안령 임지에서 벌채량을 계속 감소시켜 동북재가 부족하여 시장가격이 지속적으로 인상되고 있음.
- 열대림 목재 공급 국가에서 최근 벌채량을 줄이고 원목 수출량을 줄임으로써 중국의 목제품 생산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
- 국내외적으로 목재공급이 줄어듦에 비해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가격이 상승 할 것이며, 목재 대체품 시장이 확대 될 것임.
- 2010년 부동산이 안정된 공급과 수요가 지속될 것임. 중국 가구 시장의 호황은 장식베니어, 판재, 집성목, 인조판넬, 대나무베니어, 대나무 원자재 소비를 촉진시켜, 동북의 Bass wood, Birch, Walnut, Ash등 품종과 서남(버마등 포함)의 Teak, 백목, 서남Birch, 오리나무, GoldenTeak, Talltree 등 상용 품종은 여전히 호황세를 유지 할 것임. 
- 중국 인테리어 산업은 장식단판과 인조판넬의 시장을 촉진할 것이며 대나무제품, 엔지니어링베니어, 동북 장식단판, 서남 장식단판, 아프리카 장식단판, 구미장식단판, 동남아 장식단판, 합판, 블록보드, MDF 등 시장 인지도가 있는 제품들은 여전히 호황이 지속 될 것임.

가격 동향
장자송 가격 춘절 후 10%인상
2월부터 아프리카, 북미 목재 가격이 대폭 인상 되였고 동북 장자송 각재 가격도 뚜렷한 인상폭을 나타내고 있음.
Xingye 목재시장에 의하면, 2009년 장자송 가격 인상폭이 크지 않았으나 2010년 1월부터 원목가격, 운임이 인상되고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장자송 가격이 상승하게 되였고 규격과 등급에 따라 가격이 100~150위안/㎥로 평균 10% 인상됨. 각 규격의 무절 장자송 가격이 2,100~2,500위안/㎥이고, 2~4m x 2.5cm 이하 일반품질 장자송 보통재 가격은 1,600~1,850위안/㎥, (2-4)m x 2.5cm 이상 장자송 보통재 가격은 1,850~1,980위안/㎥, (2-4)m x(7-10)cm 장자송 가격은 2,100-2,300위안/㎥임.


 인조판넬
- 공급과 수요가 모두 충분한 합판, 블록보드 등 인조판넬 제품가격은 가구, 인테리어의 회복으로 강세를 유지하고 있음.
- 일부 침체된 장식단판, 솔리드 제품과 친환경 제품이 아닌 인조 판넬의 경기는 회복되기 어렵고  가격과 수량 모두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음.
쪾 기타 목제품
- 동북 낙엽송, 아프리카 RedRose, 저등급 MDF등 제품은 가격인상 동력을 갖고 있지 못함.
- 장식판넬, 알루미늄 복합판넬엔지어드우드 등 제품은 원가가 안정되어 있어 판매가도 여전히 안정된 수준임.
- 러시아 ASH등 목재가 상당히 부족하여 가격이 계속 인상 되고 있음.

수출·입 동향
2009년 목재수입현황

2010년 목재수입

2010년 1월부터 3월까지 수입한 원목이 766만㎥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7%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작년에 춘절기간 동안 공장 가동을 하지 않는 것을 고려하여 수입을 줄였었는데 이후 원목부족으로 공장 가동의 어려움을 겪어 금년에는 미리 원목확보를 위하여 수입량을 늘였기 때문에 증가한 것으로 보임.

가구 수출
2010년 1월~3월까지 가구수출이 70억 6,043만4천 달러로 전년 동기(58억5,641만 달러)대비 20.6%가 증가하였음.

합판 수출
1~2월 xuzhou합판 수출이 수출량 14만 ㎥ 수출액이 4647만$로 동기 대비 86.8% 증가하는 고속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음.

흑룡강 원목 수입량  37.6% 증가
하얼빈 세관 통계에 의하면 2010년 1~2월 흑룡강성의 원목 수입량이 84만3천㎥으로 작년 동기 대비 37.6%증가 하였고 수입액이 1억$로 26.9% 증가하였음.
1월 흑룡강성 원목 수입량은 47만1천㎥으로 2009년 9월 이후 월수입 최고량으로 동기대비 69.7%증가 하였으며 2009년 처음으로 증가하였음.


2월 수입량은 37만2천㎥으로 동기 대비 11% 증가하였음. 1월수입 평균 가격은 122.5$/㎥으로 2009년 10월 이후 최고치로 동기 대비 12.8% 감소하였으며 2월 가격은 126.1$/㎥로 인상되고 동기 대비 2.8% 감소  하였음. 수입 평균 가격은 2009년 3월부터 상승 추세를 나타내고 있음.
1~2월 흑룡강성에서 변경 소무역 방식으로 수입한 원목이 52만2천㎥으로 18.9% 증가하고 동기 흑룡강성 총 수입량의 61.9%를 차지하고 지난 몇 년 동안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일반 무역 방식으로 수입한 수량은 24만㎥으로 79.6% 증가하고 총 수입량에서 28.5% 비중을 차지하였음. 가공무역방식으로 수입한 원목이 8만㎥으로 110% 증가하였음.


1~2월 흑룡강성의 사영 기업에서 수입한 원목 수량은 81만5천㎥으로 39.7% 증가하고 동기 흑룡강성 총 수입량의 96.7%를 차지하고 국영기업에서 수입한 량은 2만2천㎥으로 10.6% 감소하고 총수량 중 2.6%를 차지함. 흑룡강성의 개체 공상업체와 외자기업은 각각 4천㎥ 과 3천㎥의 원목을 수입하였음.


중국은 여전히 러시아의 원목 수입 대국으로 1~2월 흑룡강성에서 러시아로부터 수입한 원목수량은 78만6천㎥으로 30.8% 증가하고 동기 흑룡강성에서 수입한 원목 총수량의 93.2%를 차지하였음. 뉴질랜드로부터 수입한 원목 수량은 4만6천㎥으로 3.6배 증가하였고 총수량의 5.5%를 차지하며 호주로부터 수입한 원목 수량은 8천㎥으로 61.2배 증가하였음.


강소성 changshu항 원목 수입 250% 증가
2월에 chang shu항(장강유역의 상해홍초 공항에서 1시간 30분 거리에 위치)으로 수입된 목재 수량은 12만㎥으로 동기 대비 250% 증가하여 신기록을 갱신하였음.
원목은 changshu항에서 적극적으로 발전시키는 품목으로 2006년 3월에 처음으로 러시아 원목이 수입된 이래 철강, 페이퍼에 이어 주력 품종으로 발전하였음. 2009년 changshu항구의 목재 수입량이 90여만 ㎥으로 동기 대비 61% 증장하였고 그중 뉴질랜드 원목이 50여만㎥으로 총수입량의 58%를 차지하여 양자강 구역에서 제일 큰 뉴질랜드 원목 집산지로 성장하였음.

수분하(흑룡강성의 러시아 국경도시) 제재목 수입량 증가
세관의 통계에 따르면 금년 1~2월 수분하 세관의 제재목 수입량이 10만2,000㎥으로 작년 동기 대비 1.3배 증가하였고 금액은 2억6,669만3천$로 1.7배 증가하였음. 2월의 수입량은 5만400㎥으로 1.5배 증가하고 금액은 1,325만3천 달러로 2.1배 증가하였음.


제재목은 수분하 세관의 목재 수입품 중 주 품목으로 수 년 동안 매년 상승하고 있음. 2009년 연간 수입량은 52만4천㎥으로 목재 수입비중이 11.04%로 제고 되었고 금년 1~2월 제재목 수입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가격도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1~2월수입 평균 가격이 261.03$/㎥로 18.7% 인상되었음. 수분하 세관의 제재목 수입량과 가격이 상승한 원인은 첫째, 러시아에서 원목 수출을 억제하고 원목 1차 가공 후 수출을 장려하는 정책으로 수분하 목재가공 기업들은 생존을 위해 공장을 러시아에 이전하여 원목을 제재하여 제재목으로 수입하는 방식으로 계속 가중되는 원목수입 세금을 피하기 때문이고 둘째, 금융위기 영향이 감소되고 국내 건자재, 마루판, 목제품 산업의 빠른 회복세는 제재목 수요를 급속하게 증가하였음. 러시아 제재목 품질이 좋고 가격이 낮아 중국산 보다 원가가 낮고 가격 인상 공간이 비교적 많아 금년의 제재목 수입량과 가격의 증가를 가속화하였음. 셋째, 제재목 수입 구조 조정은 1-2월 수입가격이 급속히 인상된 주된 원인임.

유통 동향
인조판넬
초봄인 3월, 인조판넬의 판매량과 가격은 별다른 변화가 없으며 판재시장이 춘절후의 안정시기에 진입했음을 의미함.
Xingye 목재시장 도매상들에 의하면 2월하순과 비교하여 3월의 인조판넬 시장은 비교적 평온하며 합판, 블록보드, MDF, 장식판넬 등 각종 판넬의 판매량이 뚜렷한 상승이 없고 2월 하순과 비슷한 수준임. 현재 인조판넬 시장은 안정된 상황이고 특히 장식판넬 가격은 2년 내에 거의 변동이 없었음. Xingye목재시장 판자재 가격은 단시일 내에 조정이 없을 것이나 4, 5월에 원목가격이 지속적으로 인상되고 시장 수요량이 증가할 경우 판넬 가격의 상승을 초래할 것으로 전망됨.

임업정책 동향
- 2010년도 중국의 정책은 국내의 벌채량과 국내목재공급량을 줄이는 것임.
- 속성수의 조림 증가율은 5년간 최고를 나타내고 있음.
- 현재 조림 면적의 68%는 성장초기 단계의 조림상태임.
- 중국의 탄소 저장량을 늘이는 가장 빠른 방법은 원목벌채 수준을 낮추어 산림율을 유지하는 것임.
- 합판 수출 환급 세율 인상과 재정 금융 부양 정책으로 합판 수출 촉진.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세계 목재시장에서의 중국의 역할은 자원의 블랙홀로 물량 및 가격결정의 주도권을 가지고 있음.
현재 원목 및 제재목 가격의 급등 원인도 중국의 구매확대에 의한 것임. 중국 부동산시장의 지속적인 활황은 관련 시장의 활황으로 이어져 목재수급 및 가격상승은 불가피하나 국내 주택건설경기가 침체되어 국내목재가격을 인상시키기 어려워 채산성 악화가 심해짐.


말레이시아

수요 동향
 원목수요 대비 생산량은 전체적인 면으로 보면 균형을 이루고 있음.
다만 각국의 수요에 따라 원목 및 제재목의 가격이 다르게 나타남.
전체적인 수출 수요는 지난해에 비교하여 아직 회복이 되지 않고 있으며,  SARAWAK의 제재목 수출이 거의 1차 가공 산업으로, 여러 국가로 수출이 되고 있기 때문임.
- 중동 : 두바이 쪽은 아직도 작년의 경제 위기 여파로 수출이 빈약하나, 타 지역은 반대급부로 수출이 늘고 있으나, 물동량은 작아짐.


- 태국 : 6월부터 태국에 우기가 시작됨에 따라 주로 건축 자재의 수요가 많아져 제재목 가격 중 유일하게 큰 폭으로 상승하였음.
- 대만 : 칠레, 뉴질랜드 파인의 가격 인상으로 시작된 파레트가격의 급상승으로 이곳의 가격 또한  USD 100/㎥ 인상이 되었으며, 향후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 한국 : 아직까지 한국의 남양재 제재목 시장가격과의 차이로 이렇다 할 주문이 없는 상황임. 일부 철강 받침목 주문이 겨우 이곳 가격에 따라가는 상황으로 약 USD 30/㎥ 가격이 오른 상황임. 인삼 지주목은 시즌이 지난 관계로 선적이 거의 없음.

생산(벌채) 동향
금년에는 설 전후로 우기 임에도 불구하고 비가 많이 내리지  않아 원목의 생산이 예전에 비해 많아 수출 가격이나, 내수 가격이 다른 국가보다 많이 상승하지 않았으나, 그래도 영향을 받아 약 5%정도 오른 가격을 형성하고 있음.

가격 동향
사바, 사라와크주 원목
- 중국, 인도, 로칼 합판메이카 강한 매수세로 가격상승.
- 사라와크주 탄첸마니항 현물 부족 심각하며 산지 공급이 타이트함.
- 일본향 산지가격 메란티 레귤라 U$190/㎥ (FOB), 스몰 U$155/㎥ (FOB).
- 벌채 지역이 오지화되어 특히 레귤러 등급의 부족이 심각하여 쉬퍼들이 U$200대 까지 오퍼하고 있음.

- 사바주 카폴은 중국이 높은 가격으로 매입하는 추세로 U$270/㎥ (FOB)까지 거래되고 있음.
- 메루쿠지파인 집성판은 루피아 강세로 U$900/㎥ (C&F) 수준이며, 3월 하순 현재 U$930/㎥ (C&F)까지 거래되고 있음. 


사라와크산 원목 수출가격

말레이시아 반도 원목 국내가격(domestic price)

제재목 

합판

수출·입 동향
목재수출가격 5~10% 인상
- 사라와크목재협회는 향후 6~9개월간 원목 및 제재목 가격을 5~10% 인상 예상.
- 2010년 1월~2월 수출실적이 급격히 감소한 결과를 보고 가격인상을 계획.
- 작년 동기대비 34.2% 감소한 RM 507,165,849를 기록.
- 수량은 35% 감소한 585,397톤을 기록.
- 악천후로 인한 원목벌채작업 및 운재작업이 원활하지 못했음.
- 작년 말부터 금년 1월까지 이어진 우기에 홍수로 인하여 벌목작업이 어려웠고 원목집재 장소가 강의 범람으로 인하여 운집할 수가 없었음.
- 2월 들어 강우가 줄어들어 원목운재가 가능해졌음.
- 2009년 사라와크의 목재수출은 60억 8천만 RM을 기록하였음.
2008년에는 74억 3,200만 RM을 기록하였음.

2010년 목제품 수출 증가
- 세계경제 회복에 따라 말레이시아 목제품 수출 증가 예상.
- 주요시장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세계 경제침체로 수요 감소로 인하여 2009년 194억 RM로 2008년의 227억9천만RM 보다 감소하였음.
- 주요 수출국은 미국, 일본, 유럽연합임.

선박 동향 : 거의 모든 지역으로 가는 BULK SHIP이 수요난이 겹치면서 운임이 가까운 지역은 USD 5-10/㎥ 올랐으며, 한국은 최소 USD 10/㎥, 중동 국가는 USD 15/㎥ 올려 줄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용선하기도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음.

유통 동향
임산물 ( SAWDUST CHARCOLE) 동향
- 2010년부터 사라와크지역의 숯 (톱밥)이 한국으로 수출 물량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는 세계적인 경기 침체가 아직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며, 특히, 한국, 일본, 지중해 유럽 및 아랍 국가들의 침체가 더욱 심하여, 종전 인도네시아로부터 고가 숯의 수입이 줄고 있으며, 그동안 상대적으로 저렴했던 가격과 품질이 떨어지던 이곳의 숯이 조금씩 수출량을 늘이고 있음. 한국의 수요는 2월부터 약 20~30%가 감소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숯 재고가 많아 수입업자들의 손해가 많음.

임업정책 동향
신 목재산업 법규
- 말레이시아 임업부는 목재산업을 위하여 훈련 받은 자만을 고용해야 된다는 법안을 7월 1일부터 시행키로 하였음.
- 이 법은 3개월 안에 주정부의 승인을 받을 예정임.
- 2001년에 수정된 임업법에는 벌목작업, 운송작업 등 전문적인 임업분야에 기능 작업자만이 채용되도록 규정되어 있음.
- 위반자는 5,000RM 벌금 또는 2년 이하의 징역을 받도록 되어있음.
- 위반자에게는 목재사업허가 등이 취소되거나 정지됨.
- 목재업계가 기능자를 채용 할 수 있는 시간을 주기위해 2002년까지 유예 시켜 주었음.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중국이 말레이시아로부터 남양재 수입을 금년 3월까지 전년대비 5배를 증가시켰음. 또한 말레이시아 목재협회가 목재가격인상을 발표하여 전체적인 남양재가격의 인상으로 국내에서 수입하는 원목/제재목 및 단판 등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합판 및 데킹재의 채산성 악화가 우려됨. 


인도네시아

수요 동향
- 가구수출호조로 관련 원자재 수요 증가가 예상됨.
- 최근 몇 달간의 가격상승을 배경으로 많은 수입업자들과 구매자들이 다른 지역의 합판 공급자들로 대체하고 있음. 소재합판은 중국산 합판, 러시아의 자작나무 합판, 또는 유럽의 포플러 합판으로 등으로 대체되고 있음.
- 유럽 구매자들의 필름 코팅된 합판에 대한 공급처는 다시금 러시아 자작나무 합판 등급 쪽으로 기울고 있음.
- 전체적으로 한국 수요는 전반적으로 데킹재로 편향적임.

생산(벌채) 동향
- 원목 공급 부족으로 생산 감소가 심화되고 있음.
- 상급 원목의 부족으로 인도네시아에서 합판 생산 감소가 심화되고 있음.   합판공급의 감소는 대부분 유럽 판매시장의 호전된 수요와 공존하고 있음.

가격 동향
유럽수출용 합판
- 동남아 합판의 가격상승은 최근 몇 주간 다시 주춤하고 있음.
- 특히 지난 2월 최고조에 달한 필름 코팅된(film coated) 합판 등급의 가격은 예외적 경우에서만 가능한 것으로 보임. 
- 4mm 필름/필름 등급의 4월 선적은 평균 U$ 915-925/m3(CNF)에 판매. 8mm 필름/필름 등급의 가격은 평균  U$ 700-720/m3(CNF)에 안정됨. 유럽에서 갈수록 인기가 떨어지는 21mm 필름/필름 의 가격은 지금 평균  U$ 580-600$/m3(CNF)에 판매되고 있음.


- 최근 몇 주간 소재 합판은 대조적으로 더 비싸졌는데 말레이시아가 다시 더욱 심한 폭으로 가격을 인상하여 두 나라 사이에 존재하던 상당한 가격차가 이제는 다시 좁혀진 상태임.
- 현재의 가격 안정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중개인들과 수입업자들은 봄 동안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합판의 가격이 계속 인상될 것이라 예상함.
꾸준한 생산비용과 수송비용의 증가가 가격 인상을 주도할 것으로 보임.


한국수출용 몰딩재

원목

제재목

합판

P/B, MDF

수출·입 동향주요 수출지역- 유럽 , 호주 쪽의 데킹재가 주요 수출품목 이며, 일본 종합상사의 꾸준한 수입이 주축을 이루고 있음.- 합판은 중동 및 유럽, 미국, 일본이 주류를 이룸. 가구수출 회복 징조- ASMINDO는 인도네시아 가구수출이 2009년 침체에서 회복되고 있으며 2010년 가구수출이 전년대비 15%~20% 증가할 것으로 전망 보도.- 인도네시아 가구수출은 2009년에 23억 5천만 달러를 기록.- 2010년 1월에 전년대비 16%가 증가하였음. 2010년 수출현황

유통 동향
합판
- 현재의 높은 합판 가격 때문에 상대적으로 판매 시장이 잠잠하며 또한 유럽 수입업자들이 비교적 구매를 억제하고 있음.
- 대체적으로 구매자들은 단지 그들이 꼭 필요한 분량만을 구입하고 있음. - 현재 두드러진 재고 구축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임.

중국과 경쟁 준비 완료
- 인도네시아 가구수출협회(ASMINDO)는 인도네시아 국내 가구시장에서    중국과 경쟁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낙관적으로 발표.
- 중국산 가구가 5억 달러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고 인도네시아산이  2억 5천만~3억 달러 정도를 차지하고 있음.
- ASMINDO의 계획은 인도네시아산이 6억 달러까지 점유하는 것.
- 2010년 6월에 중소가구업체 전시회를 개최 예정.

임업정책 동향
- 불법 벌목행위에 대한 규제강화.
- 수출 목재류에 대한 환경인증 및 품질인증제 실시 ( LEI 인증 ).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 인도네시아로부터의 주요 수입품목은 합판과 성형목재류로 합판은 박물합판과 마루판 대판이 주로 수입되는데, 원자재 수급의 어려움으로 생산이 저조하고, 유럽시장의 개선으로 가격상승이 진행되는바 국내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됨.
- 성형목재류는 국내 부동산경기의 위축으로 아파트의 신규 분양이 저조하여, 작년수준의 수입이 예상됨.
- 데킹재는 가장 수입증가가 예상되는 품목으로, 4대강 사업으로 수변공간의 시설재로 사용되는데 본격적인 수변공사가 행해지는 차후년도에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태국

수요 동향
- 파티클보드 및 MDF의 주요 수요처는 가구산업 및 인테리어산업임. 세계금융위기로 북미나 유럽 등 선진국등도 건축경기 침체로 수요가 급감하였으나 아랍에미리트, 사우디아라비아등의 중동지역 건축경기가 활황을 유지하고 있고, 베트남, 인도 등 신흥개발국들의 가구산업의 육성책으로 인하여 판넬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생산(벌채) 동향
- 태국은 4월 축제 기간에 공장정비가 많이 잡혀있어 3월에 공장 가동률을 최대한 높여 물량을 확보함.
- 원자재 공급이 원활치 못해 생산에 어려움이 많음.

가격 동향
파티클보드
- 원자재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4월 선적이 5월로 지연되고 5월분 일부는 6월로 이월되는 상황임.
- 5월 선적이 U$145/m3(CNF Inchon)에, 6월 선적이 U$150/㎥(CNF Inchon)으로 지속적으로 가격이 상승하고 있음. 현재 7월 선적으로 U$155/㎥(CNF Inchon) 오퍼가 나오고 있음.

수출·입 동향
2010년 1월~2월 MDF 수출

2010년 1월~2월 PB 수출

유통 동향
- 천연고무산업의 호경기로 천연고무를 최대한 채취하기 위하여 고무나무의 벌채를 늦추고 있어 고무나무 원목 부족현상이 일어나고 있음.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태국의 파티클보드산업은 가장 가격경쟁력이 높은 산업으로 수년전에 우리나라도 태국 제품에 대하여 반덤핑관세를 부과하였음. 파티클보드 및 MDF의 원자재인 고무나무의 수급이 어려워져 원자재가격이 상승하고 있음.
국내 보드류산업의 입장에서는 좋은 소식이지만 제품가격 인상이 불가피함.   특히 파티클보드는 국내수요의 40~50%를 수입해야 되는 상황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