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사용자 간 협의체 ‘추진’
생산·사용자 간 협의체 ‘추진’
  • 서범석
  • 승인 2007.05.0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산재 안정적 수요 공급 시스템 가능…산림청 중재 필요
▲ 국산재 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국산재 생산재와 사용업체간의 협의체 구성이 요구되고 있다./일러스트 서영준

올해 합판용 국산재 공급계획이 국유림 5000㎥에 그친 가운데, 공급능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사유림과 사용업체간 직접 공급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합판재의 경우 국유림이 차지하는 비중이 5% 정도에 그치고 있으며, 때문에 95%에 달하는 사유림 활용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합판업계 뿐 아니라 국산목재를 사용하는 관련 협단체와 임업단체간 협의체 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합판업계의 한 관계자는 “우선 국산재를 사용하는 관련협회들이 모여서 각 업계를 대변한 관심사에 대한 정보교환이 있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공신력 있는 산림청이 주선자로 나서야 한다”는 주문이다.

이 관계자는 또 “이를 토대도 각 업체간 연간 사용량을 정하고 임업단체와 교섭을 통한다면 안정적인 수요와 공급 시스템이 갖춰질 수 있다”면서 “합판업계만 하더라도 안정적 공급만 이뤄진다면 연간 10만㎥ 이상의 구매력이 있으며, 이 과정에서도 산림청의 중재역할이 다시 한 번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산림청 목재이용팀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계획이 선 것은 아니지만, 3월경에 협의체 구성을 위한 모임을 구상 중에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국유림의 합판용재 공급부진에 대해서도, 지난해의 예를 들어 “합판업계에서 국산재 사용을 기피하는 게 주요원인”이란 입장이다.

이에 대해 또 다른 합판업계의 관계자는 “국유림의 경우 일단 벌채해 놓고 공개매각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합판재 규격이 아닌 일반 재제용 규격으로 공급되고 있는 게 문제”라며 “임목 단계에서 합판용으로 지정 벌채하는 시스템 도입이 선행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또 협의체구성에 대해서도 “4월이 지나면 재선충병 매개체 우화기 문제와 계절적 요인이 겹쳐 9월까지는 벌채 및 운송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며 “산림청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 4월까지의 벌채 적기를 놓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밝혔다.

이어서 그는 “일본의 경우 지자체 자체적으로 산지에서 직접 업체에 공급하는 시스템이 갖춰져 있고, 국유림 등도 업체와의 장기계약 시스템이 구축돼 있다”며 “우리도 하루아침에 이런 시스템을 갖출 수는 없겠지만, 산림청에서 이번에 첫 단추를 잘 꿰 주면 산주들의 관심도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