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조건축산업 ‘약속의 땅’ 입성하나
목조건축산업 ‘약속의 땅’ 입성하나
  • 서범석
  • 승인 2008.01.1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8개사 횡성 우드테크노타운 이전 협약식 체결/새말IC 인근 10만평 조성…“통 큰 지원이 관건”
▲ 강원도 횡성에 목조건축산업단지가 조성될 예정이다. 지난 10일 강원도와 관련업체 18개 사는 10만평 규모의 단지조성과 집단이전에 대한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서에 서명한 업체 대표들이 강원도 지방 언론사들의 지대한 관심을 받으며 포즈를 취하고 있다.

강원도 횡성에 10만평(330,578㎡) 규모의 목조주택 관련 산업단지 ‘우드테크노타운’이 들어선다.
총사업비 230억원이 투입되는 단지조성은 내달 기본 및 실시계획 수립에 착수하고 오는 8월 기본계획 승인이 있을 예정이다. 이어서 10월까지 실시계획 승인 및 토지보상 협의가 진행되며, 내년 4월 공사착공에 들어가 오는 2010년 준공을 마치게 된다.
여기에 경민산업 내외건장 동양목재 등 목조주택 관련 18개 사가 입주해 목조주택 산업단지를 구성한다는 계획이다.

강원도와 목조주택 관련 18개 업체는 지난 1월10일 강원도청에서 ‘목조주택 18개 사 횡성 우드테크노타운 집단이전 협약식’을 갖고 이와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협약서에 전격 서명했다.
협약식에는 강원도에서 김진선 도지사와 한규호 횡성군수가 참석했으며, 업계에서는 이경호 한국목조건축협회장(영림목재 대표)을 비롯해 18개 사 대표 및 임원, 간부 등이 자리했다. 참여한 18개 사는 경민산업 내외건장 동양목재 동창 머릿돌 삼익산업 쎄쩌코리아건설 영림목재 우드뱅크 엔에스홈 일육우드 중동 태원목재 팀버하우스 파로마TDS 파인포레스트 한솔목조주택 은성목재 등이다.

한편 이번에 단지조성이 추진되는 지역은 강원도 횡성군 법주리 일원으로 영동고속도로 새말IC에서 약 1km, 국도42번 및 지방도 442호가 연결되는 곳에 위치하게 된다. 또 내년 4월 서울~춘천간 고속도로 개통을 앞두고 있으며, 제2영동고속도로 착공 및 복선철로 공사 등 물류여건이 획기적으로 좋아질 전망이다.
아울러 횡성은 국산원목의 주산지로 원자재 수급이 용이할 뿐 아니라, 물류비가 많이 들어가는 목조건축업의 특성상 최적의 장소라는 게 강원도의 설명이다. 도는 또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부지를 확보할 수 있으며 동해항을 통해 수입할 경우 물류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강원도는 이와 같은 여건을 기틀삼아 전국에서 유일한 목조건축 산업의 집적지로 발전시켜, 도를 대표하는 전략산업의 하나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공동 기술개발과 공동 마케팅 및 물류비 절감, 시공·건축기술 등 업체간 협력관계 구축 등 목조건축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750여 개의 일자리 창출과 연간 810억원 이상의 생산유발효과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도는 분석하고 있다.

김진선 도지사는 협약식에서 “쉽지 않은 결정을 내려준 18개 사에 감사드린다”며 “국내 목조건축산업의 메카로 발전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규호 횡성군수 또한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준공시기도 최대한의 행정절차 안에서 적절할 시기에 맞추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경호 회장은 “목조건축 산업은 급격히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선진국의 경우에는 한 곳에서 모든 목조주택 자재를 원스톱으로 쇼핑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다”며 “이번에 조성되는 단지를 자재뿐 아니라 설계에서 시공까지 가능한 곳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또 “부지가 제한된 관계로 47개 회원사 중 신청치 못한 곳이 많아, 강원도에서 부지를 더 확대해 주었으면 한다”면서 “외국에서도 벤치마킹하러 찾아올 정도로 세계적 수준의 단지로 발전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강원도와 협회가 내놓은 이날 장밋빛 청사진에 대해 아직은 넘어야 할 산이 산적한 밑그림에 지나지 않다는 회의적인 목소리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단순히 싼 땅값과 물류 인프라만으로는, 대부분 수도권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현재의 관련 업체들이 고스란히 ‘이전’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며 “세제를 비롯한 강원도의 보다 통 큰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