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목재펠릿산업 대변인처럼 활동한다”?
“대형 목재펠릿산업 대변인처럼 활동한다”?
  • 서범석 기자
  • 승인 2019.12.30 09: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림바이오매스에너지협회가 제공한 정보’ 일파만파
“국가가 지원하는 근본 이유 생각해 주길”
산림바이오매스에너지협회가 대형 목재펠릿산업계의 대변인처럼 활동한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사진은 유성진 목재재활용협회장 개인 SNS 캡처.<br>
산림바이오매스에너지협회가 대형 목재펠릿산업계의 대변인처럼 활동한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사진은 유성진 목재재활용협회장 개인 SNS 캡처.

[나무신문 서범석 기자] 바이오매스산업계를 대표하는 단체로 평가받고 있는 (사)산림바이오매스에너지협회(회장 김지응, 이하 협회)가 ‘대형 목재펠릿산업계의 대변인처럼 활동’한다는 비판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문제의 발단은 최근 한 매체가 보도한 ‘산림바이오매스에너지협회, 국내 현실에 맞는 바이오매스 발전형태 제시’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비롯됐다.

기사는 협회가 ‘전문가적 입장에서 정확한 정보를 제공’했다는 것을 전제로, ‘소규모 지역분산형 바이오매스 발전형태가 불필요한 혼란을 야기하고 있으며, 이론상 효과적인 발전체계는 맞으나 농촌인구 고령화 및 보일러 기술 한계 등 구조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어렵다’고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기사는 또 지역분산형 ‘발전 형태에 대한 타당성 검토 결과, 구조적으로 RPS 제도에 의한 전기에 대한 별도 지원뿐 아니라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열공급 인센티브와 같은 유사 제도의 시행이 동시에 뒷받침 되어야만 적합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특히 REC 가격이 하락하는 장기적 추세에서 전기 판매로 수익을 내기는 사실상 어렵기도 하다’고 이어나갔다. 

마지막으로 업계 전문가의 입을 인용해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환경설비를 갖추기 어려운 소규모 지역 분산형 바이오매스 여건을 고려할 때 연료의 균질화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하를 위해 발전용 목재펠릿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국가 환경적 측면과 주민수용성 측면에서 적합하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사)한국목재재활용협회 유성진 회장은 자신의 SNS에 관련 기사를 링크하고 ‘바이오매스 진실이 궁금하다’는 공개질문을 올려서 논란의 서막을 알렸다.

공개질의는 △목재펠릿 또는 연료용 목재칩을 태워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하는 열병합방식보다, 목재펠릿으로 전기만 생산하는 발전이 효율이 높다는 건가(지역분산형에서 난방온수 공급은 수익성이 없는 것인가) △일본은 FIT제도에서 전기생산 연료를 미이용목재로2.0MW 이하 전기생산은 40엔/1kwh, 미이용목재 33엔, 일반목재 22엔, 폐목재 13엔으로 차등 적용하고 있고, 1년에 발전용으로 공급되는 목재칩이 건조중량 기준 600만톤이 넘고, 대부분 지역 안의 2~5MW급 열병합발전 규모에서 사용 한다고 하는데, 수익성이 없을까. △2018년 발전용으로 수입펠릿이 340만톤, 국내산펠릿은 17만톤이 공급되었다고 하는데, 국내산 펠릿은 수입펠릿 대비 경제성이 없는가. 경제성이 수입대비 낮다면 국내산 펠릿은 미이용산림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해 REC2.0를 받을 경우에는 경쟁력이 있는가. 그렇다면 분산형 발전에서도 미이용바이오매스가 투입돼 REC2.0를 적용받으면 수익성이 있는 것이 아닌가. △분산형 바이오매스발전의 핵심은 난방과 온수 공급을 하며, 부수적으로 전기까지 생산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국내 여건상 지역난방 공급은 불가능하다는 것인가 등이다.

이에 대해 최근 지역분산형 바이오매스의 국내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한 기업 대표는 댓글을 통해 “바이오매스 연료인 목재펠릿과 연료용 목재칩을 용도에 따라 가정용, 상업용, 산업용으로 활용하거나, 분산형 열병합방식 또는 대형 발전용으로 활용돼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목재칩은 폐목재고형연료에 밀렸고, 목재펠릿은 베트남 등지의 저가 수입펠릿에 밀려서 시장을 잠식당하고 있었다”면서 “무엇보다 협회는 이익단체이기도 하지만 바이오매스산업계의 대표단체인데 마치 대형 목재펠릿산업계의 대변인처럼 활동하는 것은 편협할 뿐더러 바이오매스산업 자체에 대해 오해를 가지고 있는 것 아닌가 싶다”고 기사 내용에서 나타난 ‘협회가 전문가적 입장에서 제공한 정보’에 대해 비판했다.

국립산림과학원 한 관계자 또한 “지역과 임업을 먼저 생각했으면 한다. 국가가 지원하는 근본 이유를 생각해 주기 바란다”며 아쉬움을 남겼다.

이에 따라 나무신문은 지난 12월24일 오전 이와 같은 논란을 협회에 전하고 사실관계 확인과 입장표명을 요구했지만, 27일 현재 아무런 답변이 없는 상황이다.

다만 지역분산형 바이오매스 업체 대표는 이후 “협회에서 문자를 보냈다. 공식입장이 아니라 실무자 실수로 나간 기사라고 한다. 언론사에 내려달라고 하겠다”라고 했다며 “그러면 그렇지 싶다. 기사는 아무리 읽어봐도 협회 공식입장이라고 내기엔 편협했다”는 내용의 글과 함께 앞서 올렸던 댓글 일부를 삭제했다.

논란을 촉발시킨 해당 기사 역시 27일 확인한 결과 ‘언론사 요청에 의해 삭제된 기사’라는 안내와 함께 내려진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