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심포식 짜임 1
주심포식 짜임 1
  • 황인수 기자
  • 승인 2018.11.08 11: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재 | 한옥시공핸드북(A HANDBOOK ON CONSTRUCTING HANOK) 7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가한옥센터

『주심포식』이란?

주심포식 짜임
[나무신문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가한옥센터]  •주심포식 짜임이란 기둥 위에만 공포를 결구한 구조형식을 말하며, 기둥 사이에도 공포가 배열되는 다포식 짜임과 구분됨.
•이때 기둥 위에 위치한 공포를 주상포(柱上包)라고 하며, 기둥사이에 배열된 공포는 주간포(柱間包)라고 함.
•강릉 임영관 삼문의 주심포식 짜임은 고려시대 건축기법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이며, 2000년~2004년에 해체 보수 작업을 수행하여 일부 결구 방식이 보완·변경됨.

▲ 주심포식 짜임
▲ 다포식 짜임

주심포식 짜임 주요부재
•주심포식 짜임은 일반적으로 기둥, 보방향 창방, 도리방향 창방, 주두, 소로, 주심첨차, 살미첨차, 보, 뜬장여1호, 뜬장여2호, 행공첨차, 출목단장여, 주심장여, 초공, 우미량, 주심도리, 출목도리의 부재로 구성됨.

주심포식 짜임 시공과정
•주심포식 짜임은 기둥, 보방향 창방, 도리방향 창방, 주두, 소로, 주심첨차, 살미첨차, 보, 뜬장여1호, 뜬장여2호, 행공첨차, 출목단장여, 주심장여, 초공, 우미량, 주심도리, 출목도리를 각각 치목 한 후 기둥에 보방향 창방→도리방향 창방→주두→주심첨차→살미첨차→소로→뜬장여1호→행공 첨차→보→소로→뜬장여2호→출목단장여→초공→소로→주심장여→우미량→주심도리→출목도리의 순으로 결구
•각 부재를 치목하는 순서는 정해진 것이 없으므로 상황에 맞게 부재를 치목.

주심포식 짜임 관련 용어

※ 위의 이미지는 강릉 임영관 삼문 수리 이전의 모습으로, 본 핸드북에 기술된 주심포식 짜임 건축기법과는 보·행공첨차·뜬장여1호의 결구방법에 차이가 있음

한옥 시공 핸드북 : 주심포식 짜임의 건축기법은 강릉 임영관 삼문의 수리 후 모습을 기준으로 함
○○○* : p. 4 주심포식 짜임 관련 용어 참조

기둥의 치목
•나무의 상하를 구분하여 기둥의 배흘림*사개(통)* 등을 치목한다.
| 부재 조립 순서 |     준비도구 : 다림추, 곡자, 먹통, 톱, 끌, 망치, 대패

❶ 기둥에 있는 옹이의 나이테 반지름이 짧은 쪽을 기둥의 상부로 정한다.   ❷ 다림추와 곡자를 사용하여 각 면의 중심을 찾고, 먹줄을 사용하여 중심선을 그린다.   ❸❹ 먹줄을 사용하여 기둥 상·하부 단면에 배흘림 기둥의 최대직경에 맞추어 팔각형을 그린다.   ❺❻ 기둥을 일정 길이로 나누고 배흘림 곡선에 맞춰 팔각으로 치목한다. 이후 대패를 사용하여 배흘림 곡을 따라 8각→16각→32각→원의 순서로 체감을 줄여가며 치목한다.

•기둥에 다른 부재를 결구하기 위해 기둥 상부를 네 갈래로 갈라지게 치목한 형상을 사개, 사개통, 화통, 화통가지 등의 용어로 일컫는다.
•업힐장은 업을장, 엎을장 등의 용어로도 일컫는다.

❼❽ 기둥 상부에 사개(통)* 영역을 그린다.   ❾❿ 톱과 끌을 사용하여 사개(통)*를 파낸다.   ⓫ 치목이 완료된 기둥 사개(통)*의 모습   ⓬ 배흘림으로 치목된 기둥의 모습

흘림 기둥
•흘림 기둥은 위, 아래의 지름을 달리하여 치목한 기둥을 말하며,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역할을 한다. 흘림 기둥은 모양에 따라 배흘림 기둥과 민흘림 기둥으로 구분된다.
•배흘림 기둥은 기둥 하부로부터 1/3지점의 지름이 가장 굵고, 이 지점에서 위 아래로 갈수록 점차 얇아진다.
•민흘림 기둥은 기둥 하부의 지름이 기둥 상부보다 굵고, 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다.

자료제공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가한옥센터 (이 기사의 저작권은 국가한옥센터에 있습니다.)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