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와의 소통을 위한 대문 ➋
외부와의 소통을 위한 대문 ➋
  • 김오윤 기자
  • 승인 2018.05.04 09: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재 | 한옥 고치는 책 3 ‘마당·담장·대문 그리고 외부설비’ - 제3장 상징과 소통의 대문 / 국가한옥센터 auri

중문의 설치
[나무신문 | 국가한옥센터 auri] 전통적인 한옥에서 중문은 일반적으로 안채와 사랑채, 행랑채 등 채가 구분되는 경우에 각각의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하지만, 대지의 규모가 작은 도시한옥에서는 대문에서 내부가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도록 시선차단의 목적 등으로 중문이 사용되고 있다.

▲ 변경 전.
▲ 변경 후.

경사지에 위치한 한옥의 이중 대문 설치
경사지에 위치한 한옥으로 도로와 대지의 높이 차이가 1800㎜로, 계단을 올라서서 대지에 인접해 대문이 위치해 있었다. 리모델링을 통해 도로에 면해 대문을 계획하고 중문을 설치하여, 시선을 차단하고 안채영역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경사지에 위치한 한옥의 이중 대문 설치

▲ 변경 전.
▲ 변경 후.
▲ (위) 변경 전 평면도. / (아래) 변경 후 평면도

대지형태를 고려한 진입부 리모델링
대지는 진입이 가능한 3M 도로에 폭 2100㎜가 접해있으며, 도로와 대지의 높이 차이는 2400㎜이다. 기존에 3M 도로에 면해 설치되어있던 철제대문을 한식대문으로 교체하고 진입로 정비와 불법증축부의 철거를 통해 출입공간을 확보하여 진입부의 인지성과 접근의 편의성을 높였다.

▲ 변경 전.
▲ 변경 후.
▲ 변경 전.
▲ 변경 후.

우편함의 설치 및 디자인
대문은 집 안으로 들어가는 대표적인 장소로, 사람들을 마중하고 환영하는 소통의 매개체가 된다. 대문과 함께 외부와의 소통을 담당하는 부속물이 우편함으로, 일반적으로 대문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있다. 한옥에 설치되는 우편함의 대부분은 기성품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철제와 목재로 만들어진 제품이 주로 사용된다.

우편함의 디자인과 설치되는 경향을 보면, 설치방법은 부착형과 스탠드형으로 대문짝, 대문 옆 벽면에 부착되거나 세워져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기성품으로 제작된 빨간색 철제 우편함과 대문의 크기와 설치 위치에 맞추어 목재로 제작된 우편함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자료제공 = 국가한옥센터 auri
(이 기사의 저작권은 국가한옥센터에 있습니다.)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