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이 좋은 활엽수, 녹나무에 대해 알려주세요
향이 좋은 활엽수, 녹나무에 대해 알려주세요
  • 김오윤 기자
  • 승인 2017.02.17 10: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재 | 목재 100문 100답 99 / 한국임업진흥원 시험평가실

[나무신문 | 한국임업진흥원 시험평가실] 요즘 나무향이 좋은 주방 조리기구가 각광 받고 있다. 생활기구에 주로 사용되는 향이 좋은 대표적인 목재는 편백과 캄포트리(Camphor tree)다. 편백은 워낙 잘 알려진 수종이지만 캄포트리는 사람들에게 생소하다. 캄포트리라는 생소한 이름의 수종이 바로 녹나무다. 

오늘은 활엽수 중 좋은 향을 내는 녹나무에 대해 알아보자.

녹나무의 생태 및 분포
녹나무의 학명은 Cinnamomum camphora이며 장뇌목이라 불리기도 한다. 수목은 사계절 푸른 상록수이며 키가 20m까지 자라는 교목이다. 잎은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며 윤이 나고 향기가 있다. 우리나라에는 남부지방에 주로 분포하며 지리적으로는 일본과 중국, 타이완에 많이 분포한다. 보통 토심이 깊고 비옥한 토양을 좋아하며, 음지에서도 잘 자라지만 공해와 추위에 약해 내륙지방에서는 생장이 어렵다. 

▲ 녹나무 형태 (출처 = 위키피디아)

녹나무의 현미경적 구조
녹나무는 도관이 연륜전체에 분포하는 산공재로 도관은 대부분 고립관공으로 존재한다. 축방향유세포는 주로 주위상으로 존재하지만 때로는 익상으로 존재하기도 한다. 도관의 천공은 단천공이며 드물게 계단상이 혼재한다. 방사단면에서 도관과 방사조직간 존재하는 벽공의 형태는 계단상이다. 방사조직은 2~3열로 존재하며 모양이 다른 이성형이다.

녹나무의 대표적인 특징은 유세포(油細胞, oil cell)가 존재하는 것이다. 유세포는 축방향유조직 또는 방사유조직 속에 유성분, 즉 오일을 함유하고 있어 다른 유조직보다 크기가 큰다. 유세포가 존재하는 대표적인 수종은 녹나무과이며 녹나무과 중에서도 육박나무속이 가장 현저하다.

▲ 녹나무의 3단면(출처_FFPRI)* 유세포(oil cell) : 화살표

녹나무의 이용
녹나무의 쓰임이 귀중한 주요 이유는 바로 캄포라는 ‘장뇌(樟腦)’ 때문이다. 장뇌는 나무 줄기나 뿌리를 수증기로 증류시켜 얻은 기름으로 향료를 비롯해 방충제, 살충제 등을 만드는 원료로 사용한다. 녹나무의 방충, 방향 효과가 응집된 캄포 오일은 한방울 한방울 시간과 공을 들여 얻을 수 있다. 녹나무가 ‘벌레퇴치’ 수종으로도 잘 알려져 있는 이유도 장뇌 때문이다. 살충효과가 아닌 방충 효과는 사람과 자연 모두에게 이로운 친환경 재료이다. 화학적 퇴치방법이 아닌 캄포오일을 이용해 여름철 벌레를 쫓는데 사용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예전에는 장뇌는 강한 향으로 인한 방충 효과 뿐 아니라 잘 썩지 않는 성질로 보존성 또한 높기 때문에 왕 또는 귀족들의 관재(官材)로도 많이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 녹나무 관이 발견된 유적이 바로 창녕 송현동 고분군이다. 송현동 고분군 제7호분에서 발견된 녹나무 관의 형태는 반원형이었다. 이와 같은 모양으로 배로 사용되었던 목재를 목관으로 재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창녕 송현동 고분군▶녹나무 관재가 발견된 창녕 송현동 고분군 전경
▲ 사진출처 = 문화재청

목재의 색은 밝은 갈색이며 빈번하게 회색, 적색의 줄무늬가 관찰된다. 나무결이 고와서 일반적인 용도로는 건축의 내장재, 가구재, 완구 및 조각재 등으로도 사용되며 특히 사찰의 목어를 만드는 최고급 재료로 이용되었다.  「역주 조선의 임수」에 의하면 녹나무는 제주도 특산물로 여러 지역에 수출되었다고 한다. 1283년 원나라는 특히 제주도 녹나무 용재를 구하고자 했다. 1271년에 세계적 대제국을 건설한 몽고가 국호를 원(元)이라 개명하고 북경에 도읍을 정해 궁실을 건축할 당시 필요한 용재를 한반도에 여러 차례 요청했는데 임금이 앉는 어좌의 용재로 녹나무를 구했다. 녹나무로 만든 집은 썩지 않는다고 해서 이웃 일본에서는 고급건축 자재로 쓰인다.

▲ ▶천연기념물 제162호 ▶지정일 : 1964.01.31. 
▲ 사진출처 = 문화재청

참고문헌                                            
1. 박상진ㆍ이원용ㆍ이화형, 2013, 목재조직과 식별, 향문사.
2. (사)생명의숲국민운동, 2007, 역주 조선의 임수, 지오북.
3. 위키피디아
4. WOODDATABASE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