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에 더 아름다운 자작나무
겨울에 더 아름다운 자작나무
  • 김오윤 기자
  • 승인 2017.02.02 14: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재 | 목재 100문 100답 98 - 한국임업진흥원 시험평가실

[나무신문 | 한국임업진흥원 시험평가실] 하얀 겨울에 눈보다 더 빛나는 나무가 있다. 바로 흰색 나무껍질을 가진 자작나무다. 자작나무의 아름다움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곳이 있는데 바로 강원도 인제군 원대리이다. 강원도 인제군 원대리 자작나무숲은 1974년부터 1995년까지 138㏊에 690000본을 조림해 관리되고 있으며, 숲이 울창하고 아름다워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껍질이 탈 때 자작자작 소리가 난다는 자작나무는 나무껍질(수피)에 기름이 가득하기 때문에 습기에 강하고 불에 잘 타는 특성이 있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옛날에는 결혼식때 신방을 밝히는 촛불의 재료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결혼식에 ‘화촉(樺燭)을 밝히다’라는 의미가 바로 여기에서 나왔다.

이번 회에서는 겨울을 닮은 자작나무에 대해 알아보자. 

▲ <자작나무 숲> 사진출처 = 국립수목원 이현채 연구원

자작나무의 생태 및 분포
자작나무의 학명은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이며 영명은 Birch이다. 수목은 보통 20m까지 자라며 한 대 기후의 수종으로 북부 지방의 깊은 숲에서 자라며 잎은 어긋나게 붙고 세모에 가까운 달걀꼴로 끝이 뾰족하다. 암수한그루이고 꽃은 4~5월 아래로 드리워지면서 핀다. 원통 모양의 열매도 아래로 달리며 9~10월에 여문다. 

자작나무 종류에는 거제수나무와 사스래나무가 포함된다. 자작나무의 잎 모양은 거의 삼각형이며 잎맥은 6~8쌍 정도이며 거제수나무는 잎 모양이 타원형이며 잎맥의 수가 10~16쌍이다.

국내에는 강원, 평북, 함경남북도 등에서 자생한다. 북유럽과 러시아에 분포하는 자작나무류에는 Betula verrucosa와 Betula pubescens가 있으며, 미국에는 20여 수종이 있고, 주요 수종은 yellow birch, sweet birch, paper birch가 있다. 

▲ 잎과 열매
▲ 수꽃과 암꽃
▲ 수피

사진출처 = 국립수목원 이현채연구원, 위키피디아(수피)

자작나무 목재
국내산 자작나무는 심재와 변재의 구분이 불분명하며 재색은 황백색 또는 담황갈색으로 연륜도 뚜렷하지 않다. 나무갗은 곱고 결이 곧다. 중비중재로 수축성과 흡수성은 보통이나 압축강도, 휨강도, 전단강도, 인장강도는 강한 특징이 있다. 제재가공성과 대패가공성, 건조성은 보통이며, 접착성은 양호하지만 도장성은 불량한 단점이 있다. 

▲ Yellow birch
▲ Sweet birch
▲ Paper birch

사진출처 = THE WOOD DATABASE

자작나무의 이용
자작나무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문화재는 경주 황남동고분에서 발견된 천마도다. 천마도가 그려진 채화판이 바로 자작나무 껍질로 만들어졌다. 채화판은 자작나무껍질을 여러 겹 겹치고 맨 위에 고운 껍질로 누빈 후, 가장자리에 가죽을 대어 만든 것이다. 5~6세기 신라시대에 그려진 천마도의 천마의 모습 및 테두리의 덩굴무늬는 고구려 무용총이나 고분벽화의 무늬와 같은 양식으로 신라회화가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는 그림이다. 뿐만 아니라 신라회화로서 현재까지 남아있는 유일한 작품이다. 

자작나무는 다른 나무보다 큐틴이라는 방부제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잘 썩지 않고 곰팡이도 잘 피지 않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합판, 가구, 내장용재, 조각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목재에 다당체인 자일란이 함유되어 있어 핀란드에서는 자작나무 속의 자일란을 자일로스로 변환시켜 추출한 뒤 자일리톨을 만들어 식품에 이용하기도 한다.  

▲ 사진출처 = 국립중앙박물관

▲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국적/시대 : 한국/신라
▶재질 : 나무
▶지정문화재 : 국보 제207호

▲ <자작나무 합판> 사진출처 = THE WOOD DATABASE

참고문헌                                                        
1. 정성호ㆍ박병수, 2008, 한국산 유용수종의 목재성질, 국립산림과학원.
2. 조재명ㆍ강선구ㆍ허남주ㆍ박상진, 1988, 원색세계목재도감, 선진문화사.
3. 박상진, 2001, 궁궐의 우리나무, 눌와.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