옻칠은 무엇인가요?
옻칠은 무엇인가요?
  • 김오윤 기자
  • 승인 2016.08.08 15: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재 | 목재 100문 100답 77 - 한국임업진흥원 시험평가실

[나무신문 | 한국임업진흥원 시험평가실] 옻나무에서 얻어지는 수액인 옻은 방수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는 우수한 성질의 재료다. 소반, 국자, 그릇 등 나무도 만들어진 생활도구 등에 옻칠을 하면 표면이 견고해지고 오랫동안 변하지 않아 천연도료 또는 접착제로 활용되어 왔으며,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각 나라에 맞는 칠기 문화가 형성되었다.

칠이란 본래 ‘옻’에서 유래되었으며, 크게 옻칠과 황칠로 나뉜다. 옻칠을 사용한 역사는 청동기시대부터 이다. 실증적 사료로는 낙랑 고분에서 출토된 칠기가 처음이며, 중국은 그보다 더 오래전부터 사용했다고 한다. 이번 회에서는 지금까지 많이 이용되고 있는 옻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 나전 칠 외다리 소반.
▲ 칠 국자.
▲ 칠 쟁반.
▲ 사진출처 = 국립중앙박물관

옻액이 나오는 세포
옻액이 나오는 세포는 수목의 수피에 존재하는 칠액구다. 칠액구는 옻액을 분비하는 2~3열의 분비세포로 둘러싸인 세포간극으로 나타나며, 목재부분에는 존재하지 않고, 수피부분에만 나타난다. 따라서 옻을 채취하기 위해 수피에 상처를 내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 옻나무의 목부조직.
▲ 옻나무 수피조직의 칠액구.
▲ 옻 채취 모습.

옻의 구조
옻은 산화반응에 의해 3차원 구조의 고분자를 형성하는 천연고분자로 크게 우루시올, 수분, 고무질, 함질소물, 효소로 구성되어 있다. 각 성분의 함유량은 다음 표 1과 같다.

① 우루시올(Urushiol)
옻의 주성분인 우루시올은 벤젠환에 2개의 수산기를 갖는 카테콜 화합물에 탄소원자 15개로 구성된 긴 지방산 곁가지(R)가 결합된 것으로 곁가지에 있는 이중결합의 수와 결합 형태에 따라 다양한 우루시올 유도체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옻의 성분은 일정하나 곁가지 성분인 C15H26~31에서 H의 숫자가 26에 가까울수록 양질의 옻이 된다.

② 수분
고무질 속에 포함된 수분은 산화효소의 활성과 우루시올을 분산시키는 유화제의 역할을 담당한다. 정제시 비휘발분의 함량에 따른 물성 변화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③ 고무질(Gum)
고무질은 옻칠 도장 시 탄력을 유지하고 수분을 우루시올에 분산시키는 유화제 역할을 한다. 또 옻을 고르게 펴 도막의 수평을 조정하기 위한 수분과 산화효소를 포함하고 있다.

④ 함질소물
알코올이나 수분에 녹지 않는 갈색 분발로 질소를 함유하고 있는 여러 종류의 화합물이다.

⑤ 산화효소(락카아제)
옻의 경화를 위한 필수 성분 중 하나로 우루시올을 산화시켜 고분자화나 수분의 존재 하에서만 활성을 가져 낮은 습도에서는 옻의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옻의 종류
옻은 채취 시기, 가공 정도, 쓰임새 등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국내 옻칠 생산량과 수입량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옻칠량은 산림청 「임업통계연보」에 따르면 대부분 강원도에서 채취되는 것으로 그 양은 저조하다. 임산물수출입통계에 의하면 옻칠 수입량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수입 의존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 칠장(무형문화재 정수화).
▲ 사진출처 = 문화재청

우리나라 옻칠의 기원은 기원전 3세기경부터이며, 삼국시대에는 고분에서 다양한 종류의 칠기가 발견되었다. 신라에서는 칠전이라는 관서가 있었고, 고려시대에는 중상서와 군기감에 칠장이 소속되어 있었으며, 조선시대에 와서는 경공장과 외공장에 칠장이 존재하였다. 일본강점기에는 일본풍의 공예기술이 도입되고 광복이후에는 캐슈라는 값싼 칠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한국 고유의 전통적인 칠기 기술은 칠장(무형문화재)에 의해 어렵게 전통 기술이 이어나가고 있다. 2000년이 넘는 역사성과 고유한 가치를 지닌 우리의 옻칠문화는 앞으로 전승되어야 하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옻칠문화가 계승되고 발전될 수 있도록 우리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1. 유재은, 2014, 옻과 교의 접착 특성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 이필우ㆍ정연집, 1992, 옻나무 칠액구의 해부학적 특성, 서울대농학연구지, Vol.17 No.2.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