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산업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
목재산업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
  • 서범석 기자
  • 승인 2016.05.10 15: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OLUMN 서범석의 칼럼 혹은 잡념

[나무신문] 나는 최근 몇 가지 목재산업 주요 이슈에 대해 눈을 감고 있다. 사실은 눈을 부릅뜨고 지켜보고 있지만 몇몇 이해당사자들로부터 ‘언론이 눈을 감고 있다’는 말을 면전에서 들었으니 ‘눈을 감고 있다’고 말해도 틀리지 않을 것이다.

내가 눈감고 있는 대표적인 이슈는 인천 북항 원목 야적장 문제와 목질보드류 생산업계의 제재부산물 구입가격 인하에 대한 일련의 사건들이다.

그런데 이 두 사안 모두 고도로 복잡한 회로도를 갖고 있다. 얽히고설킨 이해관계에 놓여 있다는 말은 신중하게 살펴봐야 한다는 것과 같은 얘기다. 사정이 이런데 당장의 현상만 보고 선악(善惡)을 구분 짓듯 누군가를 선의의 피해자를 만들고 또 누군가를 가해자로 만드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게 내 생각이다.

원목장부터 살펴보자. 그 정당성을 논외로 하고, 원목장을 요구하는 사람들은 당연히 원목 수입업자들이다. 또 여기에 제재업자들도 포함되어 있지만 그 온도차는 확연하다. 그런데 (제재업자를 포함해서) 원목을 수입하더라도 자기 땅이 있는 사람들은 오히려 원목장이 줄어드는 것을 반기고 있다. 제재목 수입업자들은 그야말로 환영하는 분위기다.

공교롭게도 지금 인천에서 원목장 확보를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는 사람들 대부분이 이해관계에 있어서는 전자보다는 후자에 가깝다. 때문에 이들이 속으로는 열심이지 않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올 정도다. 사실이 그렇다는 게 아니라 그만큼 보편적인 정서라는 말이다.

제재부산물 문제도 마찬가지다. 지금 제재업자들과 부산물 수거업자들은 ‘영세하다’는 전가의 보도를 휘두르며 대기업의 갑질로 사안을 몰아가고 싶은 것 같다. 하지만 이 분야의 갑과 을은 수급상황에 따라 항상 바뀌어 왔다.

그리고 더 분명한 것은 ‘갑질’은 항상 있어왔다. 힘없는 영세 제재업자들의 갑질도 만만치 않다는 얘기다. 제재부산물 산업의 고질적인 갑질 주고받기가 이 사안의 본질이다. 이 갑질문화는 돈 한푼 없어도 제재소를 차릴 수 있게 했고, 목질보드류 생산업의 무리한 팽창과 ‘부산물 생산을 위해 제재목을 만드는’ 대형제재소의 출현으로 이어졌다.

분야 마다 입맛이 다르고 집집마다 국물 맛이 다른 것이 지금 목재업계다. 어제 뒤틀리고 오늘 엎어지고 내일 재주넘는 게 일상이다. 그런데 이런 판에 뛰어들어 너는 이랬고 당신은 저랬다 편 가르고 단죄하려 드는 것은 다른 속내가 있으면 모를까 언론이 할 일은 아니다.

컨트롤타워를 세워야 한다. 그런데 누가 대신 세월 줄 사람이 없다. 대신 해줄 수 있는 일도 아니다. 어제 재주넘고 오늘 뒤틀리고 내일 엎어지는 게 일상인 사람들이 모여서 스스로를 도와야 할 수 있는 일이다. 하늘도 스스로 돕지 않는 자들은 돕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