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업전문회사 방문(NEW ZEALAND Rayonier)
임업전문회사 방문(NEW ZEALAND Rayonier)
  • 김오윤 기자
  • 승인 2016.05.04 08: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문가 기고 - 임업강국 뉴질랜드에서 한국 임업의 문제점을 찾다 1/6 - 유성진 전문위원 (사)한국목재재활용협회
▲ 토장에서 조재후 상차한 원목.

인터뷰 | Steve Chandler (Regional Manager)

▲ 글 = 유성진 전문위원 (사)한국목재재활용협회

[나무신문 | (사)한국목재재활용협회 유성진 전문위원] 어린 시절 강원도 시골에서의 생활을 회상해 보면, 산과 강은 우리들의 놀이터였고, 아침,저녁 집집마다 굴뚝에서 피워 오르던 나무 태우는 연기와 내음새가 너무 익숙했었다. 그 시절에 우리나라의 산림은 좋은 재목들이 제법 많았던 것 같다. 맑고 아름다운 동강물에 원목을 엮어 만든 땟목들이 뒤덮고 서울까지 머나먼 장정을 시작했었고, 얼마 후 부터는 뗏목 대신에 태백선 기차역 야적장에 소나무 원목이 산처럼 쌓였고, 기차에 원목을 실어 나르는 광경에 익숙해질 무렵부터 원목은 사라지고 그 자리를 석탄이 차지했다. 물론 지금은 석탄 화차마저도 사라졌다.

학교를 졸업하고 입사한 곳이 목재회사였고, 원재료로 사용되는 나무를 찾아 전국 곳곳의 산판과, 제재소와 폐목재가 발생되는 건설현장과 재활용 우드칩공장을 다녔고, 부족하면 러시아로 베트남으로 일본까지 나무원재료를 구해 쫓아 다니다보니 벌써 25년이 지나갔다.

젊은 시절 목재회사에 입사할 때 즈음에, 우리나라에서는 건설업과 전자산업의 성장이 눈부셨고 상대적으로 목재산업은 사양 산업이라는 눈총을 받았지만, 그다지 반론할 여지도 없었다. 목재산업은 IMF 즈음부터 구조조정이 가속화되어 수많은 제재업체·가구업체가 사라졌고, 합판업계도 예외는 아니였다. 

이렇게 끝날 것 같았던 목재산업이 그나마 힘든 구조조정을 거쳐 명맥을 유지했고, 소득수준이 선진국 문턱까지 오르면서 목재를 가공한 다양한 제품의 수요가 늘어나고, 아파트 생활을 탈피하려는 전원주택 수요까지 다양하게 증가하는 추세다. 

목재산업에 종사하며 이제야 말할 수 있다.

목재는 인류와 꾸준히 함께 해온 소중한 자원이고, 삶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목재의 수요는 증가하기에 절대로 사양산업이 아니라는 것이다.

▲ 하베스터 장비로 벌도하는 광경.

다만, 우리나라에서 집을 지을 때 사용되는 구조용 목재나, 좋은 가구,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가설재 제재목, 산업용 포장재 등 제재목, 바이오매스연료로 사용되는 우드펠릿(목재펠릿)마저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왜? 그럴 수 밖에 없을까? 하는 의구심 속에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우량 원목(경제목)의 공급이 거의 없다는 사실에 직면했다.

혹자는 얘기한다. 임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부가가치가 높아야 하는데, 국산원목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목재산업체에서 높은 가격으로 원재료를 구입해 줘야 한다고, 이번에 임업선진국인 뉴질랜드 방문은 과연 임업과 목재산업이 성장과 공생을 위해 무엇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알 수 있었다.

뉴질랜드는 목축업과 임업이 국가경제에 가장 중추적인 기간산업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필자는 뉴질랜드의 산림에서 원목을 생산하고, 수출하는 과정과 원목을 가공해 제재목을 생산하는 업체와 MDF를 제조하는 업체까지 둘러보고, 지금까지 막연하게 느꼈던 우리나라 임업의 문제점과 향후 어떻게 개선해야 할 것인가? 문제인식과 개선방향에 대해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해 칼럼으로 쓰게됐고, 6회에 걸쳐 연재한다.      

▲ 원목 수출항에서 Steve Chandler씨와.

70세가 넘은 그는 오랜 기간 산림컨셜팅 회사에서 근무했고, 레이오니어 South-land 지역 매니저로 10년을 근무하고 있는 임업 전문가다.  

Q  뉴질랜드 산림현황과 회사에 대해 소개좀 부탁한다.

뉴질랜드는 목축업과 임업(목재산업)이 국가 경제를 유지하는 가장 큰 규모의 산업으로 정부의 1차산업부에서 관리한다.  

뉴질랜드 국민총생산(GDP)은 NZ$2146억(2014년 기준)이며 임업이 약 3.2%를 차지한다. 뉴질랜드 연간 총 수출액은 NZ$483억이며, 그 중 임업 수출액이 NZ$48억으로 축산업(유제품, 육류)에 이어 3번째로 수출액이 높은 산업이다.

산림면적은 8백만㏊로 국토의 31%를 차지하며, 그 중 Radiata pine이 주로 조림된 인공림이 1.8백만㏊로 이루어져 있다. 연간 원목 벌채량은 약 30백만㎥이며 그 중 약 16백만㎥를 해외로 수출하고 있다.

뉴질랜드에서 3번째 규모인 15만3000㏊의 산림을 보유한 산림회사로, 미국의 연금회사들이 장기간 안정적인 수익을 목적으로 설립한 회사로 1990년에 뉴질랜드에 진출했다.

현재 보유자산 가치는 30억달러 정도이며, 뉴질랜드 Southland (남섬) 지역에는 4만㏊의 산림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간 40만톤의 원목을 생산하고 있다.

생산한 원목의 30%는 국내 제재소에 공급하고, 70%는 중국과 한국, 인도로 수출하는데 수출 비중은 중국이 60%, 한국이 25% 수준이며, 인도시장은 15% 정도지만 계속 수요가 성장하는 시장이다. 뉴질랜드 북섬에 있는 법인에서는 호주와 미국에서 매입한 원목을 아시아권으로 판매하는 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Q  한국에서는 산림에서 나무를 벌채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높은데, 뉴질랜드의 국민들의 인식은 어떤가?

국민들이 산림은 경제성 높은 순환자원이라는 인식을 갖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예를들면 일정 면적에 조림과 간벌을 하여 우량 목재를 생산하는 시범사업도 하나의 방법이다.

뉴질랜드의 경우 1800년대에 유럽인들이 이주하면서 벌목으로 산림이 황폐화 되어 조림이 시작되었다. 자연림의 경우 철저히 보존하고 있으며, 경제림은 벌채를 주기적으로 하여 나무를 심고 수확하고 있다. 

Q  우량 경제림으로 가꾸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우수한 나무 수종을 발굴하고 키우는 양묘 사업이 필요한데, 뉴질랜드나 귀사의 경우는 어떠한가?

정부에서는 나무를 벌채할 때 톤당 27CENT의 세금을 징수해 연구기금을 조성하고, 사기업이 신규 수종 개발하는데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예상되는 연구자금은 연간 50억원 수준이다. Rayonier는 날씨에 관계없이 성장이 좋은 하이브리드 수종을 개발 중에 있다.

Q  한국은 나무 수종에 따라 정해져 있는 벌기령(소나무40년, 활엽수25년)을 도달할 경우에만 경영계획을 수립해 벌채허가를 신청하고, 지자체는 산림청으로부터 배정받은 예산 범위내에서 벌채허가를 주는데, 뉴질랜드의 경우는 어떠한가?

뉴질랜드에서는 기본적으로 자가 조림지에서 산주가 벌목할 권리가 있기 때문에 특별히 제한을 하지 않는다. 더글라스는 45년, 라디에타파인은 통상 30년 정도를 키워 벌채를 하는데, 우리 회사는 28년이 지나면 벌채를 시작한다. 환경문제 이슈가 있는 산림 즉, 지반이 취약한 경우 등은 벌채 신고를 하는데, 안전사고를 우려해 가로100M×세로40M 이상 면적의 집재장을 만들어야 한다. 원목집재장은 복구를 하지 않고 30년 뒤에 다시 사용한다.

Q  최근 지구온난화 심화로 2015년 파리 당사국 협약에서 각국은 온실가스 저감목표를 설정해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에 노력중이고, 특히 바이오매스에너지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는 화력발전소에서 석탄에 혼소하는 우드펠릿을 연간 180만톤까지 수입하고 있으며, 바이오매스 전소 발전소에서는 PKS(팜열매껍질), 우드펠릿도 일부 사용하지만, 대부분 폐목재 우드칩(BIO-SRF)을 연료로 연간 140만톤 이상 사용하고 있는데, 뉴질랜드의 경우에는 어떠한가?

뉴질랜드는 사기업체들의 수력발전이 전력 생산량의 57%를(2014년 기준) 차지하고, 그 외에도 풍력과 지열 등을 이용하고, 일부 석탄화력 발전도 하는데, 수력발전에서 필요한 저수량에 따라 전기 공급가격이 최대 10배까지도 차이가 난다.

뉴질랜드 정부는 학교·공장 등의 연료를 바이오매스로 전환하는 것을 시도 중 이지만, 아직까지 바이오매스 연료(순수 원목우드칩)는 연간 5천톤에서 1만톤 정도의 수요이고, 최근 오타고 유제품 공장에서 건조연료로 연간 3만톤의 우드칩이 사용될 예정이다.

▲ 제재목을 생산하는 SAW MILL LINE.

Q  한국은 1970년대에 속성수로 리기다소나무와 황폐화된 지력복구를 위해 아카시와 참나무류 나무를 식재해 울창한 숲을 만들었고, 수종 갱신을 위해 모두베기를 하여 원목은 반출하고 남는 가지목과 후동목 등 임지잔재는 조림예정지 정리작업을 하여 벌채임지에 정리해 놓는다. 최근 폐목재 연료칩(BIO-SRF) 수요 증가로 인해 연료용으로 반출하려는 노력도 시도하고 있는데, 뉴질랜드의 경우에는 산림에서 발생되는 임지잔재를 소각하거나, 벌채임지에 버려놓는다고 하는데 관련된 제도가 있는가?

임지잔재 처리에 대한 의무나 정부지원은 없고, 나무를 심어 조림을 할 때 탄소배출권(15UNIT/㏊)을 지원받지만, 벌채 후 용도를 전환(농장으로 활용)할 경우에는 지원금의 70%를 반환해야 한다.   

벌채 후 발생되는 솔잎과 가지목 등은 습한 지역에서는 2년, 건조한 지역에서는 5년정도 지나면 부패되어 거름으로 활용된다고 생각한다. 한국과 달리 상품가치가 낮아 버려지는 원목이 많기 때문에, 임지잔재는 활용하지 않는다.

Q  한국은 임업의 구조가 ①벌채업자 ②원목유통업자 ③산림조합 ④산림사업법인 ⑤ 국유림 영림단 등이 있는데, 통상 벌채업자는 산림을 보유한 산주로부터 입목을 매입해 벌채를 하여 원목유통업자에게 공급하는 구조이며, 원목 유통업자는 일부 직접 벌채작업도 병행하며 최종 수요업체인 MDF제조업체· 펄프칩 제조업체·국산재 제재업체에 판매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에는 산림조합과 민간 산림법인도 수익성 확보를 위해 산림경영계획 수립, 허가대행, 숲가꾸기와 사방사업, 임도개설 사업에서 벌채사업에 가세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고, 별도로 국유림의 산림에서 벌채작업과 간벌작업을 하는 국유림영림단이 있다. 뉴질랜드의 경우에는 임업의 구조가 어떠한가?

대형제재소가 임장을 매입해 벌채업체에 도급을 주는 형태가 22%, 레이오니어와 같은 산림 회사가 38%, 산주가 직접 벌채업체에 도급을 주어 생산하는 형태가 40%로 벌채작업은 전문업체가 주로 하고 있다.

Q  한국에서 벌채작업은 대부분 엔진톱을 이용하는 인부가 벌도작업과 조재를 하고, 집재와 상차 작업은 소형 우드그랩(굴삭기)이 하며, 소운반이 필요한 지형에서는 캐리어와 영운기,GM트럭이 이용된다. 뉴질랜드의 경우는 어떠한가?

뉴질랜드는 안전사고에 대한 정부의 규제가 심하다. 모든 사업장은 정해진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하며, 벌채현장의 입구에도 안전수칙 표지판 설치와 일반인이 진입시에는 철저히 벌채업체의 사전승인과 지시에 따라야 한다. 

뉴질랜드의 벌채작업은 95%가 기계화되어 입목을 벌도하는 하베스터와 원목을 조재하는 프로세서, 소운반하는 스키더로 구성되어 있다. 일부 경사가 심한 지형에서는 케이블 가선집재를 하는데 하베스터 활용 벌채시에 NZ$20/톤의 원가에 비교할 경우 NZ$10/톤 정도 높다. 

Q  한국의 산림에서는 통상 1㏊당 원목 생산량이 120~130톤 수준으로, 대부분 펄프규격(굵기 7㎝~ 30㎝, 길이 2.1m)이고 곡재가 많아 부가가치가 낮다.(일부 낙엽송, 잣나무, 소나무 조림지에서 제재용재 생산은 일부 있지만) 그로 인해 산주의 입목매각도 100만원~200만원(NZ$80~100)/㏊ 수준으로 부가가치가 너무 낮다.  뉴질랜드의 경우에는 어떠한가?        

뉴질랜드는 1㏊당 500톤 정도의 원목이 생산되는데, 산주에게 입목을 매입하는 금액은 통상은 1천만원/㏊ 수준이고, 아주 좋은 나무는 2천만원/㏊ 까지도 거래된다.

원목을 생산하면, 제재용재가 87% (가장 고가인 PRUNED등급 27%, A등급과 K등급 60%)와 PULP 등급이 13% 발생되고, 길이 3M 이하인 원목(BILLET)은 수량에 포함시키지도 않는다. 

Q  한국 원목 수출시장에 대한 전망은?

A 한국은 뉴질랜드 원목을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입하는 국가로 수출 물량의 증가는 없지만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본다. 이에 반해 중국은 시장의 규모가 훨씬 크기는 하지만 경기에 따라 수입 물량의 기복이 심한 상태이고, 인도가 앞으로 대체 시장으로 수입물량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