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 산림청과 소나무, 그리고 재선충
COLUMN 산림청과 소나무, 그리고 재선충
  • 서범석 기자
  • 승인 2015.04.27 11: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범석의 칼럼 혹은 잡념

[나무신문] 소나무재선충 얘기를 해야겠다. 방제를 위해 총력전을 벌이고 있는 산림청을 생각하면 나무신문은 그동안 소나무재선충 이야기를 안 해도 너무 안 했다. 관심이 없어서라기보다 산림청의 대처가 마음에 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재선충에 대한 산림청의 행동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완전 퇴치를 목표로 한 방제작업이고, 다른 하나는 이미 재선충에 걸린 소나무를 좀 더 가치 있게 사용하도록 노력하는 일이다.

산림청은 대대적인 캠페인을 통해 소나무를 살려서 숲을 살리자고 연일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그런데 여기에서 곰곰이 생각해보자. 사실 곰곰이 따져볼 필요도 없다.

소나무가 곧 산림이고, 산림이 곧 소나무라는 등식이 합당한가 하는 문제다. 당연히 아니다. 소나무가 아니어도 산림을 가꿀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 그리고 경제림의 관점에서 보면 우리 산의 소나무는 썩 좋은 수종도 아니다.

그런데 산림청은 마치 소나무가 죽으면 산림이 다 사라지는 것처럼 호들갑을 떨고 있다. 관련 예산도 막대하게 쏟아붓는다. 소나무가 아니어도 얼마든지 더 좋은 산, 가치 있는 산림을 가꿀 수 있다는 사실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을 것인데도 말이다. 

다음은 재선충 감염목 활용 문제다. 지금까지 대부분 감염목은 발생장소에 소독처리해서 덮어두거나, 소각하는 방법 등을 써오고 있다. 또 파쇄해서 에너지업계나 목질 보드류 생산업계에 원재료로 공급한다.

이것을 좀 더 가치 있는 ‘목재’로 사용하는 방법을 찾자는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방법으로는 기껏해야 포장재 정도다. 포장재는 목재로서는 거의 최하등급 이용법이다. 기울이는 노력에 비해 성과가 너무 미약하다는 말이다.

산림청은 더 이상 소나무에 목메지 말아야 한다. 소나무재선충을 수종 갱신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발생지에 대한 대대적인 벌채와 새 나무 심기는 자연스럽게 임도 확보와 같은 탄탄한 임업 인프라 확보로 이어질 수 있다. 아울러 꼭 지켜야 할 소나무 숲은 더욱 더 확실히 지킬 수 있는 방법이다.

재선충 발생 위험지역도 마찬가지다. 병에 걸린 나무 아무리 끌어안고 씨름해봐야 얻을 건 뻔하다. 

발생 이전에 선제적으로 대처하자는 말이다. 감염 전 베어낸 나무는 운반과 이동도 비교적 자유롭다. 그저 4면만 제재해서 비 가리고 바람 통하는 곳에 쌓아놓으면 두고두고 목재로 쓰는데 아무 문제가 없다.

이러한 일을 임가공해 줄 제재소 또한  전국 방방곡곡 도처에 수백 개는 있다. 비용이 문제라면 이미 산림청에는 재선충 방제예산이 있고, 또 목재 판매로 생길 이익을 생각하면 임가공비는 아무 것도 아니다.

물론 우리 소나무는 정서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소중한 자원임에 틀림이 없다. 하지만 소나무만이 우리 산림의 전부가 아닌 것도 명백한 사실이다.